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더불어키움(공영형) 유치원의 성과를 학부모 만족도 및 정책요구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추후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2020년 3월 26일부터 2020년 4월 6일까지 서울 더불어키움(공영형) 유치원 4개원 학부모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를 활용,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해 F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절반 이상은 교육비 부담경감, 교육과정의 질, 기관 운영 투명성의 이유로 유치원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다. 둘째, 학부모는 자녀가 흥미 있어 하는 내용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특히 만족하였다. 셋째, 학부모는 원장의 분명한 비전,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학부모는 유치원에서 자녀가 신체, 건강, 안전, 의사소통능력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했음을 체감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performance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public-type private kindergarten mode (SPPKM) based on parents' satisfaction and policy demands, and to propose future tasks. From March 26, 2020, to April 6, 2020, 219 parents of four SPPKMs were gathered. As method of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while F verification was used for intergroup comparis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par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SPPKM due to reductions in the cost of education, quality of the curriculum, and transparency in institutional operation. Second, parents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SPPKM, especially given that the curriculum included what their children were interested in. Third, they were pleased with the director's clear vision and the teachers' capacity for interaction. Fourth, parents emphasized that their children had changed positively in terms of physical health, safe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SPPKM. Moreover, they hoped that it would become a sustainable policy through the re-designation of public kindergarten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presented.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내용 및 조사 도구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서울 더불어키움(공영형) 유치원 선택 동기 가. 공영형 유치원 선택 이유 나. 자녀의 유치원이 공영형 유치원임을 인지하고 있는지의 여부 2. 서울 더불어키움(공영형) 유치원에 대한 만족도 가. 전반적 만족도 나. 만족/불만족 이유 다. 유치원 교육・보육 활동에 대한 만족도 라. 유치원 운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 마. 유치원 원장에 대한 만족도 바. 유치원 교사에 대한 만족도 3. 자녀의 교육적 성과 4. 정책 요구 및 개선 방안 가. 공영형 유치원 계속 지정 운영을 원하는 정도 나.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