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및 체제구축 방안(Ⅰ):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방안 탐색

Metadata Downloads
Title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및 체제구축 방안(Ⅰ):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방안 탐색
Alternative Title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and System Establishment Plan (Ⅰ): Exploration of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Plans
Author(s)
최은영김은영구자연김문정이승미장혜진이완정임여정권혜진김유미김지연신윤승정정희임수진김언경김윤희박건령이효림
Keyword
미래형영유아교육과정 설계핵심 역량future-oriented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curriculum designcore competency
Issued Date
2023-05-30
Publisher
경제·인문사회연구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640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에 대한 통찰력 있는 이해와 교육과정의 제・개정의 지속성과 연계성을 담보하기 위한 숙의와 가치공유, 합의의 과정을 통해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방안을 탐색하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영유아기 역량의 연계, 이를 반영한 교육과정의 재구조화를 기반으로 총론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국가 교육과정으로서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분석하여 중장기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려는 중장기 연구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는 1차년도 연구로서 현행 교육・보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쟁점들을 탐색하고, 국내외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국외 영유아 교육과정 문서, 누리과정과 초중등 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설계 관련 문헌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에서 어떻게 인식・실행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및 실행한 과정을 제시한 연구물을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로 분석한 후,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의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 외에도 현장 전문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FGI, 전문가 의견조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등을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과정에서 전문가 협의회와 협동연구기관과의 워크숍, 전문가 자문회의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공유하고, 개선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사회 환경 변화,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역량 관련 선행연구와 교육과정 설계 이론, 범위, 이슈 등을 분석하고, 개정 누리과정 및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문서 체제와 개선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주요국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주요 요소와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를 분석하여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선의 쟁점을 보육과정 문서 측면과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실행 측면, 그리고 부모와의 협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역대 고시문의 분석, 국내외 관련 고시문의 검토, 국내외 관련문헌 참고, 현장 전문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FGI 분석을 토대로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1차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까지 교육과정 문서의 총론과 각론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문서 측면에서의 쟁점을 도출하고,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를 토픽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의 개선의 쟁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 및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선요구,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요구분석 등과 관련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치원 교사 303명과 보육교사 603명(0~2세반 교사 302명, 3~5세반 교사 301명), 총 906명이 참여한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유아교육・보육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미래사회의 영유아 교육・보육의 방향,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개선요구 등과 관련된 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는 총 98명이 응답하였고, 1차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차 조사에는 총 64명이 응답하였는데,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합성 평가에 대해서는 Lawshe(1975)가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판단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활용하였다. 넷째,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3-5세 보육과정)에 대한 쟁점 분석, 교사의 이해도와 전문가의 적합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행 교육・보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형 교육・보육과정 설계에 대한 전문가 의견, 교사의 요구를 분석 결과, 국외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설계 방향을 탐색하였다.
상기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 및 연계를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현행 문서상의 체제 개선(안)에 대한 검토 및 합의, 영유아 발달과 놀이, 배움과 역량의 연계 및 구체화, 추구하는 인간상과 목적의 연계, 문서의 대강화와 명료화 강화,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의 연결성 제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통합적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정립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차원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의연속성 확보, 영유아기 고유성과 특수성의 적용 방식 고려, 교수・학습과 평가 내용의 명료화, 영유아기 디지털 역량의 적용 및 연계의 검토를 제안하였다. 둘째,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를 위한 제언으로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철학 및 가치 기반의 확립을 위해 영유아기 놀이 철학 및 방향의 공유, 미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에의 철학적 기반 및 핵심 가치의 반영, 교육・보육과정의 참여와 실행 주체의 구체적 역할 명시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를 위해 영유아기의 특수성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문서 체제의 변화, 하나의 비전을 가진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영역의 재설계, 평가 환류 방식 검토, 영유아기 핵심 역량의 도입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셋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중장기 연구로서 후속 연구의 지속과 국가교육위원회의 출범에 따른 통합적 논의를 위해 유아교육과 보육 전문가의 참여 확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plans through deliberation, value sharing, and agreement to ensure an insightful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nd the continuity and connectivity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link between the core competency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early childhood competency was reviewed, and a plan for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reflecting this was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as a series of studies to seek mid- to long-term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s a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a first-year study, explored issu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compared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document systems, and derived the design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For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studies, foreig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ocuments,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nd literature related to curriculum design were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how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s recognized and implemente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we analyzed research papers that presented the process of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d then qualitatively A meta-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rive major issues i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In addition, FGI for field experts and parents, expert opinion survey, and teacher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was shared through expert councils, workshops with cooperative research institutes, and expert advisory meetings, and improvement plans were discuss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uture social environment changes and capacity to cope with future society, curriculum design theory, scope, issues, etc. were analyzed, and the document system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ain ele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a in major countries and the demand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a design, the curriculum design direction was presented. Second, the issues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ere examined in terms of childcare process documents, practices in the field of childcare centers,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Issu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notices, review of related notices and related literature at home and abroad, and FGI analysis targeting field experts and parents,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4th standard childcare process was presented. In addition, issues in terms of curriculum documents were derived by diachronically analyzing the general and specific argument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1st kindergarten curriculum documents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conducte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to identify issues for improvement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ir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mprovement request, and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analysis. A total of 906 people (303 kindergarten teachers and 603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based on th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lated to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 total of 98 people responded to the first survey, and a total of 64 people responded to the second survey, which was conducted targeting experts who responded to the first survey. Lawshe (1975 ) us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to judge expert content validity.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issues regarding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results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 suitability evaluation of experts,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In addition, the design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was explored by synthesizing expert opinions, teachers' demands, and results of analysis of overseas cases on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link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lay, learning and competency, and human image and purpose in order to improve and link the document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and clarify documents, improve the connectivity of document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Next, in terms of linkag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was proposed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human image to be pursued, to consider the method of applying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young children, to clarify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to review the application and connection of digital capabilities for young children. Second, as a proposal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it was suggested that the philosophy and direction of children’s play should be shared, and tha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core values of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should be reflect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particip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nd the specific role of the implementing agencies should be specified. Next, it was suggested that the document system needs to be change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early childhoo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iculum design with one vision, the redesign of the curriculum area, the evaluation feedback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core competencies in early childhood. Third,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the need to continue follow-up research as a midto long-term study and the need to expand particip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xperts for integrated discussion following the launch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were suggested.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3. 연구 내용 5
4. 연구 방법 6

제2장 이론적 탐색
제1절 미래사회 환경 변화와 유아교육・보육 15
1. 인구구조의 변화와 유아교육・보육 15
2.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변화와 유아교육・보육 18
3. 사회 및 경제 구조 변화와 유아교육・보육 24
4. 환경 및 자원문제 관련 변화와 유아교육・보육 26
5. 시사점 ·29
제2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배경 및 향후 개정 방향 30
1.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정 배경 및 성과와 한계30
2.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배경 및 경과 35
3. 시사점 36
제3절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문서 체제 비교 38
1. 제(개)정 배경 비교 38
2.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비교 39
3.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비교 40
4. 시사점 43
제4절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를 위한 국외사례 45
1. 국가별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에 대한 접근 45
2. 국가별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탐색 47
3. 시사점 69
제5절 국내・외 교육과정 설계 이론 분석 72
1.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방안 72
2. 빅 아이디어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방안 90
3.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99
4. 시사점 118

제3장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선의 쟁점
제1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선의 쟁점 125
1. 보육과정 문서 측면 125
2. 보육과정 실행 측면 134
3. 부모의 보육과정 참여 150
제2절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선의 쟁점 161
1. 교육과정 문서 측면 161
2. 교육과정 실행 측면 170
3. 전문가의 교육과정 인식・실행 측면 178
제3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선 방향 189
1. 제4차 표준보육과정 개선 방향 189
2.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선 방향 197

제4장 현행 교육・보육과정의 개선 및 미래형 교육・보육과정의 설계 방향
제1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및 개선 요구 205
1.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에 대한 이해 205
2.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및 어려움 277
제2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의 적합성 평가 286
1.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추구하는 인간상 286
2. 제4차 표준보육과정(0-2세) 290
3. 2019 개정 누리과정(3-5세 보육과정) 301
4.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문서상 연계 정도 및 보완점 311
제3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선 방안 314
1. 총론 개선(안) 314
2. 20 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337
제4절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에 대한 요구 및 설계 방향 341
1.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보육과정의 철학 341
2.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시 고려 사항 347

제5장 제언
제1절 현행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 및 연계를 위한 제언 371
1. 현행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371
2. 20 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374
제2절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를 위한 제언 377
1.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철학 및 가치 377
2.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379
제3절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83

참고문헌 385
1. 단행본, 학술논문 385
2. 보도자료 395
3. 참고 웹사이트 396

부록 398
부록 1. 표준보육과정(0-1세) 목표 및 내용범주, 내용의 변화 400
부록 2. 표준보육과정(2세) 목표 및 내용범주, 내용의 변화 405
부록 3.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410
부록 4. 유치원 교육과정 각론의 변화 431
부록 5. 질적 메타분석 과정에서 정리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성과와 개선방안’ 분석표 441
부록 6. 교사용 질문지 448
부록 7.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2종 458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5. 수탁연구보고서
파일 목록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