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Ⅰ):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1단계 기초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권미경 | - |
dc.contributor.author | 황선영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혜민 | - |
dc.contributor.author | Morita Akemi | - |
dc.contributor.author | 박지윤 | - |
dc.contributor.author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 |
dc.date.accessioned | 2020-05-11T00:54:54Z | - |
dc.date.available | 2020-05-11T00:54:54Z | - |
dc.date.issued | 2019-12-3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763 | - |
dc.description.abstract | □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들에 대한 적극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모색되는 시점에서 지역사회의 역할은 중앙정부와의 협력, 지역사회 자생력 생성 차원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국정과제로 고려되고 있음. - 이는 2018년 말 발표된 저출산·고령사회 정책로드맵에도 ‘함께 돌보고 함께 일하는 사회’라는 추진 영역으로도 반영됨. □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한 아이를 기르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라는 표현으로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육아정책 수요자의 일상생활의 장(場)인 지역사회 내에서 아이 기르기 좋은 마을 조성하기 위한 ‘온 마을’이 무엇인지,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도적으로 실현해갈 것인가의 답을 찾는 과정을 제시할 것임. · 본 연구는 ‘육아하기 좋은 환경’으로의 마을 조성을 위한 단일 척도 지표를 제시하기보다는 지자체 수준에서 육아친화적 요소를 마을에 담기 위해 어떻게 접근할 지에 대한 과정적 절차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함.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for raising children can be compressively highlighted in the African proverb: 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 This study mainly aims to specify ‘what whole village is’ for developing child-care-friendly community, where consumers of child care policies live in daily life, and suggest the way how to realize it in terms of institutional system. In that manner, the specific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ep-by-step process of how to reflect child-care-friendly elements in the community at local governmental level for making a good environment for child care rather than present a single scale index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uses the mix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ince it contains a wide range of research contents from defining concept of child-care-friendly community to developing plan of child-care- friendly community for local governments. The elements of child-care-community are derived as the philosophy and values, the service infrastructure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creation a supportive human network. The KICCE child-care-friendly Community indicators including direct resource indicators (7) and child care infrastructure-related indicators (10) are developed. The following model is suggested as the process for establishing KICCE child-care-friendly Community. The research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establishing KICCE child-care-friendly Community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development of child-care- friendly Community by only one trial of diagnosis and improvement and requires continuous and tireless efforts for change.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the life-cycle perspective of child when the local governments develop the child-care-friendly Community. Above all, opportunities for making consensus of the community members should be planned and provided before making it. Development of Child-care-friendly community should be started by local governments, but gradually the human network of the community should functionally work.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Ⅰ.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2. 연구내용 24 3. 연구방법 26 4. 연구개요 및 범위 31 Ⅱ. 육아친화마을 개념과 구성요소 35 1. 육아친화마을의 개념 37 2. 육아친화마을에의 요구 및 조성 필요성 56 3. 육아친화마을의 구성요소 67 4. 소결 76 Ⅲ. 육아친화마을 조성 사례 81 1. 지자체 마을공동체조성 사업 중 육아친화적 사례 83 2. 국내 육아친화적 마을 조성 사례: 사회혁신기업 ‘더함’ 95 3. 일본 육아지원 특화 지자체 조성 102 4. 호주 육아지원 특화 지자체 조성 117 5. 소결 130 Ⅳ. KICCE 육아친화마을 지표 개발 133 1. 지표개발 연구개요 135 2. 지표개발을 위한 쟁점 검토 139 3. 육아친화성 측정지표의 개발 143 4. 지역의 육아친화성 측정 및 분석 164 5. 소결 214 Ⅴ. KICCE 육아친화마을 체크리스트 개발 217 1. 육아친화마을 조성 체크리스트 구성 과정 219 2. 육아친화마을 진단 체크리스트 풀(pool) 개발 222 3. 주민참여 지역 맞춤형 체크리스트 도출 238 Ⅵ. 육아친화마을 조성 지표와 체크리스트 적용사례 253 1. 육아친화마을 조성 지표 적용 사례 255 2. 육아친화마을 조성 체크리스트 적용 요구 조사 264 3. 소결 349 Ⅶ.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355 1.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모형 357 2.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모형 적용 366 3. 육아친화마을 조성을 위한 제언 367 4. 육아친화마을 조성 시 정부의 역할 370 5. 향후 추진 계획 373 참고문헌 375 Abstract 387 부록 389 부록 1. 면담질문지 389 부록 2. 설문지 391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Ⅰ):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1단계 기초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Development of Child-Care-Friendly Community For Coping with Lowest-low Fertility Rate Social Phenomenon(Ⅰ) | - |
dc.type | Report | - |
dc.citation.volume | 연구보고 2019-23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407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권미경. (2019-12-31). 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Ⅰ):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1단계 기초연구. 연구보고 2019-23 1-407. | - |
dc.subject.keyword | child-care-friendly community | - |
dc.type.local | 일반연구보고서 | -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 |
dc.relation.projectName | 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Ⅰ): KICCE 육아친화마을 조성 1단계 기초연구 | - |
dc.relation.projectCode | GR191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