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임효미 -
dc.contributor.author 이승연 -
dc.date.accessioned 2020-06-25T08:04:13Z -
dc.date.available 2020-06-25T08:04:13Z -
dc.date.issued 2017-06-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50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 원장 152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26일부터 10월 3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맞춤형 보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의 취지를 이해하고 있었고, 필요성에 대해서도 과반에 가까운 수가 인정하고 있었으나, 대다수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들은 맞춤반 운영시간과 보육료가 대체로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맞춤형 보육의 시행으로 인해 원장 및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료 수입에서 변화를 체감하고 있었으며, 이는 재정적 부담과 행정적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둘째, 맞춤형 보육에 대한 요구에 있어서 원장들은 맞춤형 보육의 전반적인 개선을 요구하였으며, 영아의 바람직한 보육을 위한 방안에서는 어린이집 기본 운영시간을 12시간에서 8시간으로 조정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향후 보육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으로는 국가, 부모, 어린이집이 함께 책임지는 보육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새로운 보육정책을 마련할 때에는 정책 결정 과정의 공개와 조정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맞춤형 보육 정책의 지속적인 개선과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on customized childcare policy that was implemented recently since July 1, 2016 in Korea. 152 directors at various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filled out surveys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30,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directors’ perceptions on customized childcare, although they fully understood the intent of the policy and about half of them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the policy, most of them were dissatisfied with the policy.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the operating hours and the childcare fees for the customized classes were not appropriate. Furthermore, they felt the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of directors and teachers and center income from childcare fees due to the policy’s enforcement, and these changes led to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difficulties. Second, in terms of the directors’ demands on customized childcare, they demanded overall improvement of the policy. In particular, they suggested to modify the basic operating hours from 12 hours to 8 hours in order to provide advisable childcare for infants. For the question on what the future childcare policies should pursue,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a shared responsibility among the government, parents, and childcare centers. For the question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making a new childcare policy, most of the respondents demanded the notification and mediation of policy-making processes. These results imply the needs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and active publicity of the customized childcare polic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dc.title.alternative Child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Customized Childcare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1권 1호 -
dc.citation.startPage 155 -
dc.citation.endPage 18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임효미. (2017-06-30). 맞춤형 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연구, 11권 1호 155-183. -
dc.subject.keyword 맞춤형 보육 -
dc.subject.keyword 맞춤반 -
dc.subject.keyword 종일반 -
dc.subject.keyword 어린이집 -
dc.subject.keyword 원장 -
dc.subject.keyword customized childcare -
dc.subject.keyword customized class -
dc.subject.keyword all-day class -
dc.subject.keyword childcare centers -
dc.subject.keyword directors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117.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