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와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한 매개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제희선 -
dc.contributor.author 채혜경 -
dc.date.accessioned 2020-06-25T08:05:04Z -
dc.date.available 2020-06-25T08:05:04Z -
dc.date.issued 2019-06-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90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행복감, 자존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아동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7차년도, 8차년도,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7차년도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은 강한 자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 사이에 상호교류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취업모 어머니의 근로조건이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 및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한 제도화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and self-esteem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mutual influence over time b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using the 7th, 8th and 9th year data of the children's panel. As a result, mother's daily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ffected happiness and self–esteem. Also the influence of mother's happiness and self-esteem persisted over time. Self-esteem and happiness also affected each other. In addition, mot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Mother's social emotion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omoting child's executive function, and multifaceted social support is needed to further enhance mother’s emotional variabl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요인별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 2.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유아기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와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한 매개효과 -
dc.title.alternative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Mother’s Daily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Happiness Mediation Using ARCL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3권 1호 -
dc.citation.startPage 123 -
dc.citation.endPage 14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제희선. (2019-06-30). 유아기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와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한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13권 1호 123-146. -
dc.subject.keyword 행복감 -
dc.subject.keyword 자존감 -
dc.subject.keyword 집행기능 -
dc.subject.keyword 일자리 만족도 -
dc.subject.keyword 일상적 스트레스 -
dc.subject.keyword happiness -
dc.subject.keyword self esteem -
dc.subject.keyword executive function -
dc.subject.keyword daily stress -
dc.subject.keyword job satisfaction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316.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