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유치원 이용가구의 돌봄 공백 실태와 대응과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유해미 | - |
dc.date.accessioned | 2022-12-01T15:22:37Z | - |
dc.date.available | 2022-12-01T15:22:37Z | - |
dc.date.issued | 2022-11-30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352 | - |
dc.description.abstract | ∙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이용가구에서 필요한 돌봄시간보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6.5%이고, 영유아자녀를 맡길 데가 없어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9.2%로 조사되어 이들 가구의 돌봄 공백이 우려됨. ∙ 어린이집 및 유치원과 아이돌봄서비스 연계의 주요 대상은 어린이집 연장보육과 유치원 방과 후과정의 접근성 보장에도 불구하고 자녀돌봄의 공백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가구이며, 이외 에도 자녀가 아픈 경우, 야간 및 주말에 근로하는 맞벌이 가구 등임. ∙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이용가구의 원활한 아이돌봄서비스를 연계를 위해서는 아이돌봄서비 스의 정보 접근성 제고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아동인계 등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일원화가 요구되며, 관할부처는 물론, 시·도 및 시·군·구와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의 아이돌봄서 비스 연계 관련 협업체계 구축이 요구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배경 및 문제점 2. 어린이집·유치원 이용가구의 돌봄 공백과 지원요구 3. 정책 제언 4. 기대효과 참고문헌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어린이집·유치원 이용가구의 돌봄 공백 실태와 대응과제 | - |
dc.type | Issue Paper | - |
dc.citation.volume | 이슈페이퍼 2022-10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22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유해미. (2022-11-30). 어린이집·유치원 이용가구의 돌봄 공백 실태와 대응과제. 이슈페이퍼 2022-10, 1–22. | - |
dc.type.local | 이슈페이퍼 | - |
dc.type.other | 이슈페이퍼 | - |
dc.relation.projectName | 영유아 보육·교육기관과 아이돌봄서비스의 효율적 연계방안 연구 | - |
dc.relation.projectCode | MR210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