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형석 -
dc.contributor.author 이정호 -
dc.contributor.author 홍혜영 -
dc.date.accessioned 2022-12-28T14:26:57Z -
dc.date.available 2022-12-28T14:26:57Z -
dc.date.issued 2022-12-31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369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아동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학교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한국 아동 패널 초3~초5의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은 개인 간 차이가 있으며, 개인별 잠재계층은 ‘저만족・점진적상승형’(21.6%), ‘고만족・점진적하락형’(78.4%)으로 확인되었다. 예측요인은 개인요인(자아존중감, 끈기, 적은 스트레스), 부모요인(가족과의 시간), 학교요인(친구 지지, 교사 지지, 엄격한 규칙)이 학교 만족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만족감 향상 방안으로, 아동과 부모가 함께하는 프로그램 개발, 교사 지원 정책, 심도 있는 학교 만족감 연구를 위한 측정 변인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classified the latent class of the individual change trajectory in children's school satisfaction, and studied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school satisfaction. The analysis data 10th(elementary school 3), 11th(elementary school 4), and 12th(elementary school 5)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analysis for a total of 1,316 people showed that, the trajectory of individual change in school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individuals. Latent classes of the change in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y were classified as “low satisfaction and gradual rise” (21.6%) and “high satisfaction and gradual fall” (78.4%). Predictors of school satisfaction improvement were identified as individual factors (self-esteem, grit, and less stress), parent factors (time with family), and school factors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strict rules). To improve school satisfac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for p to develop programs with children and parents, a teacher support policy, and expansion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for in-depth school satisfaction research.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가. 학교 만족감 척도 나. 예측요인 척도 3. 자료 분석 4. 연구모형 Ⅲ. 연구결과 1. 주요 요인의 기초분석 자료 2.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 3. 학교 만족감의 잠재계층 분석 4. 학교 만족감 잠재계층에 대한 예측요인의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아동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Latent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Factors for Change in Children's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y: Focusing on the Growth Mixed Model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6권 3호 -
dc.citation.startPage 79 -
dc.citation.endPage 10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김형석. (2022-12-31). 아동 학교 만족감의 개인별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6권 3호, 79–103. -
dc.subject.keyword 학교 만족감 -
dc.subject.keyword 성장혼합모형 -
dc.subject.keyword 자아존중감 -
dc.subject.keyword 또래관계 -
dc.subject.keyword 교사의 지지 -
dc.subject.keyword School Satisfaction -
dc.subject.keyword Self-Esteem -
dc.subject.keyword Growth Mixture Model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634.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