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유형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독서시간의 매개효과 및 미디어 과의존의 조절효과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하여진 -
dc.date.accessioned 2023-09-27T15:26:30Z -
dc.date.available 2023-09-27T15:26:30Z -
dc.date.issued 2023-09-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83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별 학교적응 수준의 차이와 독서시간의 매개효과, 미디어 과의존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사용유형은 학업위주 집단, 비학업위주 집단, 평균 집단, 전반적 고사용 집단의 네 집단이 존재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학업위주의 미디어 사용은 독서시간을 통해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비학업위주의 미디어 사용은 독서시간을 통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반집단과 달리 과의존 집단에서는 비학업위주의 미디어 사용이 독서시간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만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선용을 위한 미디어 활용 교육프로그램 및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usage patterns and to verify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among the latent groups.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tim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edia overdependence were also tested.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o data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media usag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 latent subgroups were identified.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media usage patterns.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patterns and school adap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the media overdependence group and the general group in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Based on the results, media- usage education and read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가.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학교적응 나. 초등학생의 미디어사용, 독서시간과 학교적응의 관계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변수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 양상에 따른 하위집단 구분 2.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학교적응 가. 초등학생 미디어 사용과 학교적응: 직접효과 나. 초등학생 미디어 사용과 학교적응: 매개효과 다. 초등학생 미디어 사용과 학교적응: 다집단분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유형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독서시간의 매개효과 및 미디어 과의존의 조절효과 분석 -
dc.title.alternative Effect of media usage patterns on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tim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edia overdependence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7권 2호 -
dc.citation.startPage 131 -
dc.citation.endPage 15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하여진. (2023-09-30).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유형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독서시간의 매개효과 및 미디어 과의존의 조절효과 분석. 육아정책연구, 17권 2호, 131–153. -
dc.subject.keyword 미디어 사용유형 -
dc.subject.keyword 독서시간 -
dc.subject.keyword 학교적응 -
dc.subject.keyword 잠재프로파일분석 -
dc.subject.keyword media usage -
dc.subject.keyword reading time -
dc.subject.keyword school adaptation -
dc.subject.keyword latent profile analysis.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726.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