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Ⅱ): 부모용 도구 개발 및 가족 지원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설 | - |
dc.contributor.author | 김아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지현 | - |
dc.contributor.author | 김희수 | - |
dc.contributor.author | 전효정 | - |
dc.contributor.author | 김민정 | - |
dc.contributor.author | 고은경 | - |
dc.contributor.author | 최일선 | - |
dc.contributor.author | 김형미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예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용진 | - |
dc.contributor.author | 최정원 | - |
dc.date.accessioned | 2024-03-13T15:19:20Z | - |
dc.date.available | 2024-03-13T15:19:20Z | - |
dc.date.issued | 2023-12-3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555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research is the second year study for 4-year cooperative project for Korean government’s ‘Master Pla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Related Ministries, 2021. 05.) and President Yoon Suk-yeol’s key policy tasks(Numbers 47, 67, and 84). The purpose of current research is to develop and distribute early screening tool and easy-to-understand support guide for parents with young kids at risk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urrent study, literature review, conference of experts, survey of status and demand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index for early screening tool and support guide for parents. From the whol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we suggested the ideas for national policy related to young children at ris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for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measures for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of disability (before 18 months), it is needed to enhance the national ‘infant health check-up’, to strengthen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for infants under 18 months of age, and to build and promot a developmental observation checklist app. Second, for family support policy measures, it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to establish a portal site for children at risk, to provide information booklets for child development, to customize parenting education for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and to introduce supporting system of strengthening family capacity through home visits. Third, for improvement of service system, it is needed to increase voucher cost and expand usage areas, to expand employment of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license at local childcare support centers, and to introduce one-stop service system. Meanwhile, We developed the Korean Screening Index of Early Development for parents ((KSIED-P). The inventory was developed to prevent and minimize development problems through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It was developed especially for parents to help to screen children at risk at home, of which questions are based on daily routin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tool consists of 375 items and 7 types with ages. We also made the parenting guide for par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retardation. The book includes contents of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how to play with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and resources of information regarding support family, especilaly with young children at risk.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부 장애위험영유아 조기 발견 및 가족 지원 방안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 18 3. 연구 방법 19 4. 보고서의 구성 26 Ⅱ. 연구의 배경 29 1. 장애위험영유아 개념과 조기 개입의 효과 29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의 근거 법과 정책 36 3. 1차년도 연구의 주요 결과 48 Ⅲ. 해외 국가의 장애위험영유아 가족지원 제도 57 1. 미국 57 2. 독일 67 3. 호주 81 4. 뉴질랜드 86 5. 일본 91 6. 시사점 93 Ⅳ. 장애위험영유아 지원정책과 서비스 99 1. 주요 정책 사업 99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서비스 운영 사례 106 Ⅴ.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요구 분석 133 1. 부모 심층면담 분석 133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152 Ⅵ.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제안 195 1. 제안의 근거: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개선 관련 이슈 195 2. 장애위험영유아 조기(18개월 이전) 선별과 개입 방안 198 3. 가족지원 정책 방안 201 4. 서비스 체계의 개선 204 제2부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선별 부모용 도구 및 부모 지원 자료 개발 Ⅶ.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선별 부모용 도구 개발 211 1. 한국영유아발달 선별검사 부모용 도구(KSIED-P) 개발 과정 211 2. 예비조사를 위한 한국영유아발달 선별검사 부모용 도구 문항 구성 254 3. 예비조사 260 4. 소결 및 시사점 296 Ⅷ.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303 1.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배경 303 2.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개발 절차 307 3.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내용 구성 308 4.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 구성 방향 327 5. 부모 지원 자료집 구성 329 참고문헌 331 Abstract 347 부록 349 부록 1. 부모 설문조사표 349 부록 2. 최종 부모용 선별도구(KSEID-P) 질문지 364 부록 3. KSIED 부모용 결과 보고서 예시 380 부록 4. 장애위험영유아 부모 지원 자료집(일부) 386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Ⅱ): 부모용 도구 개발 및 가족 지원 방안 | - |
dc.title.alternative | Comprehensive Strategies for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in ECEC (Ⅱ): Development of the KSEID-P Inventory and the Guide for Parenting | - |
dc.type | Report | - |
dc.citation.volume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3-81-01 | - |
dc.citation.volume | 연구보고 2023-27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388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김은설. (2023-12-31).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Ⅱ): 부모용 도구 개발 및 가족 지원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3-81-01, 1–388. | - |
dc.subject.keyword |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s | - |
dc.subject.keyword | Korean Screening Index for Early Development-parenting Form | - |
dc.subject.keyword | ECEC | - |
dc.subject.keyword | Infant and young children | - |
dc.type.local | 일반연구보고서 | - |
dc.type.other | Research Report | - |
dc.relation.projectName |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Ⅱ): 부모용 선별도구 개발 및 가족 지원 방안 | - |
dc.relation.projectCode | GR230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