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을 위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기반 지원체계 구축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은진 -
dc.date.accessioned 2024-05-17T16:44:44Z -
dc.date.available 2024-05-17T16:44:44Z -
dc.date.issued 2024-03-31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669 -
dc.description.abstract 장애위험 영유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도 실제적으로 공적 체계에서 도움을 받는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영유아건강검진-어린이집 및 유치원 이용의 과정에서 보호자, 당사자인 영유아, 담당교(직)원들은 충분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관련 전달체계를 분석하고, 교사들의 어려움을 담아 개발한 검사도구와 지원자료를 소개하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기반으로 전달체계와의 협력,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발달센터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 서론 2. 장애위험(발달지연) 조기발견 체계: 영유아 건강검진 평가 후 연계 3.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의 장애위험 조기발견 가능성 4.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기반으로 한 장애위험 조기발견 체계 구축방안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을 위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기반 지원체계 구축 방안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포럼 -
dc.citation.volume 79호 -
dc.citation.startPage 6 -
dc.citation.endPage 1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강은진. (2024-03-31).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을 위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기반 지원체계 구축 방안. 육아정책포럼, 79호, 6–16. -
dc.type.local 육아정책포럼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2. 육아정책포럼
파일 목록
PF7902.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