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23~2027) 수립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양미선 -
dc.contributor.author 도남희 -
dc.contributor.author 구자연 -
dc.contributor.author 강정원 -
dc.contributor.author 권기남 -
dc.contributor.author 김정화 -
dc.contributor.author 신나리 -
dc.contributor.author 장혜진 -
dc.contributor.author 송신영 -
dc.date.accessioned 2024-06-03T16:14:28Z -
dc.date.available 2024-06-03T16:14:28Z -
dc.date.issued 2022-11-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682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약 1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내용 12 3. 연구 방법 13 4. 연구 절차 17 5. 선행연구 17 Ⅱ. 제1~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성과 평가 28 1. 제1~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개관 28 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성과 평가 32 3. 시사점 69 Ⅲ.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71 1. 지방자치단체 특수보육시책 사업 71 2. 국외 보육제도 및 가정양육지원 우수 사례 81 3. 시사점 103 Ⅳ. 대내・외 환경 분석 및 전망 106 1. 인구구조 변화와 보육 수요 전망 106 2. 영아기 통합 양육지원체계 구축 117 3. 아동 중심 보육서비스 질 제고 140 4.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 162 5. 보육기반 강화 180 Ⅴ.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안)의 정책 우선순위 분석 196 1. 대내․외 환경요인 196 2. 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안) AHP 분석 200 3. 추진 전략별 세부과제 우선순위 204 4. 시사점 211 Ⅵ. 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23~2027)(안) 213 1. 기본 방향 213 2. 세부 추진과제 215 3. 맺는 말 240 참고문헌 243 부록 253 1. 시도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 이후 수립) 255 2. 부록 표 261 3. 2차 포럼 토론문 269 4. 3차 포럼 토론문 310 5. 전문가 조사표 346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publisher 한국보육진흥원 -
dc.title 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23~2027) 수립 방안 연구 -
dc.type Report -
dc.citation.startPage 1 -
dc.citation.endPage 35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양미선. (2022-11-30). 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23~2027) 수립 방안 연구. 1–353. -
dc.identifier.url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researchId=1351000-202300103&gubun=totalSearch&menuNo=I0000002 -
dc.type.local 수탁연구보고서 -
dc.type.other Research Report -
dc.relation.projectName 제4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23-2027) 수립방안 연구 -
dc.relation.projectCode CR2201 -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5. 수탁연구보고서
파일 목록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