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아동 국제지표 산출방안 연구: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지표를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지 | - |
dc.contributor.author | 이상정 | - |
dc.contributor.author | 유해미 | - |
dc.contributor.author | 박미진 | - |
dc.contributor.author | 최진희 | - |
dc.contributor.author | 성경 | -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정 | - |
dc.contributor.author | 김나영 | - |
dc.contributor.author | 유민상 | - |
dc.contributor.author | 박미선 | -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진 | - |
dc.contributor.author | 변수정 | - |
dc.contributor.author | 이주연 | - |
dc.contributor.author | 박신아 | - |
dc.contributor.author | 조숙인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민 | - |
dc.contributor.author | 오수미 | - |
dc.date.accessioned | 2024-06-03T16:14:29Z | - |
dc.date.available | 2024-06-03T16:14:29Z | - |
dc.date.issued | 2023-05-12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684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국제비교가 가능한 가족・아동지표 산출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가족변동 및 저출산 대응 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OECD Family Database의 한국 자료를 검토하여 보고 여부와 적절성, 현재 생산 가능성에 따라 ‘적절’, ‘개선필요’, ‘누락’, ‘자료없음’, ‘해당없음’으로 구분하고, 이후 자료 생산 방안과 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의 영역별 한국의 보고 지표는 절반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표 259개 중 118개, 약 45.6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고는 되고 있으나 개선이 필요한 지표가 31개로 약 12.0였디. 보고되지 않고 있는 지표 중에서 생산이 가능한 지표는 65개로 약 25.1였으며, 자료가 전혀 없어 새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지표는 42개로 약 16.2였다. 그 외 한국 자료가 해당되지 않는 지표가 3개로 약 1.2였다. 영역별로는 가족・아동정책(PF, public policies for families and children) 영역과 아동성과(CO, child outcomes) 영역의 지표가 보고되는 비율이 다소 높았고, 특히 자녀관련 휴가 지표(Child-related leave, PF2)와 가족・아동 정책총괄 지표(General polici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F1)의 보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토 결과 이 두 지표의 경우 ‘개선필요’ 지표의 수준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는 되고 있지만 개선이 필요한 ‘개선필요’ 지표로는 인구주택총조사와 지역별 고용조사, 보육실태조사의 연령 기준 변경, OECD SOCX와 Tax-benefit 모델의 분류체계 재검토, 법과 제도, 정책에 대한 일부 오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수치 조정 등의 내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자료는 있지만 보고되고 있지 않은 ‘누락’ 지표들은 인구주택총조사, 아동가구통계등록부, 통계청 출산통계, 인구동향조사와 같은 보고자료에 기반한 대규모 통계로부터, 지역별 고용조사 및 경제활동인구조사, 사회조사, 가계금융복지조사 등의 통계청이 수행하는 통계, 그 외 주거실태조사, 여성폭력실태조사,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사회통합실태조사, 보육실태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 분야별로 담당 부처가 생산하는 통계들까지 다양한 통계에서 누락된 지표를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자료가 없기 때문에 보고가 단기간 내에 불가능한 ‘자료없음’ 지표들은 몇가지 공통적으로 자료 부재를 가져오는 항목들이 발견되었다. OECD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파트너쉽 항목으로서 혼인관계 밖의 ‘동거’ 변수와 ‘이주배경’ 변수가 한국의 자료에서는 부재하거나 중요하지 않게 다루어짐으로써 많은 지표의 누락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통계적 보완이 상당히 이루어졌으나 ‘출산휴가’ 관련 지표, 비공식돌봄과 초등방과후 돌봄에 대한 지표는 충실하지 않아 국제비교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상자녀 수’, 취학 연령 아동의 건강행동설문조사(HBSC), 국제읽기능력평가(PIRLS) 등 국제적으로 활용되는 조사의 모듈이나 문항이 국내에 존재하지 않아 비교가 어려운 항목도 있었으며, ‘가족 풍요도’나 ‘물질적 결핍’과 같이 한국상황에 적절하지 않은 지표들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국가승인통계를 생산하는 국책 연구기관들과 담당부처의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respond to family fluctuations and low birth rates by preparing production measures for family and child indicators that can be internationally compared. Specifically, Korean data of the OECD Family Database are reviewed and classified into ‘appropriate’, ‘improvement needed’, ‘omission’, ‘data not available’, or ‘not applicable’ according to reporting, appropriateness, and current production possibility, and subsequent data production plans and system construction plans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Korea's reporting indicators by area of the OECD Family Database was found to be about half. Out of 259 total indicators, 118 indicators, or about 45.6%, were found to be adequate, and 31 indicators that are being reported but need improvement were about 12.0%. Among the unreported indicators, 65 indicators that could be produced were about 25.1%, and the number of indicators that needed to be created because there was no data at all was 42 indicators, which was about 16.2%. There were 3 other indicators that did not apply to Korean data, which was about 1.2%. By area, the rates of reporting indicators in the areas of public policies for families and children(PF) and child outcomes(CO) were rather high, especially child-related leave(PF2), and the reporting rate of General policies for families with children(PF1) was high.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is study, in the case of these two indicators, the level of the ‘needs to improve’ indicat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dicators that are being reported but need improvement includ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Local Area Labour Force Survey, change in age standard for National Child Care Actual Conditions Survey, reexamination of OECD SOCX and tax-benefit model classification system, and some of laws, systems, and policies.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s were needed in the contents such as errors and numerical adjustment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versely, ‘missing’ indicators that have data but are not reported are as follows: From large-scale statistics based on report data (e.g.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hild and Household Statistics Register, Statistics Korea Birth Statistics, and Population Trend Survey) and statistics conducted by the Statistics Korea (e.g. Local Area Labour Force Survey.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ocial Surveys,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etc.) to statistics by sector produced by each ministry in charge (e.g. Korea Housing Survey, Survey of Violence Against Women, Survey on the Status of Sole-Parent Families, Work-Family Balance Survey, Comprehensive Survey on Youth,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National Survey of Early Childcar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etc.). It was confirmed that missing indicators in the above statistics can be supplemented. Lastly, in the ‘no data’ indicators, which are impossible to report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lack of current data, several common items that lead to the absence of data were found. As partnership items that are important in the OECD, ‘cohabitation’ variables outside of marriage and ‘migration background’ variables are either absent or treated as insignificant in Korean data,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many indicators are omitted. On the one hand, statistical supplementation was made considerably, but indicators related to ‘maternity leave’, informal care, and after-school care were not substantial, lowering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items that were difficult to compare as there were no modules or items in internationally used surveys, such as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the Health Behavior Survey of School-age Children Study(HBSC), and the Progress in International Reading Literacy Study(PIRLS), which did not exist in Korea. Inappropriate indicators in the light of Korean context such as ‘family affluence’ and ‘material deprivation’ we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establish governance f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ministries in charge of producing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for stable and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OECD Family Database.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가.연구 배경 3 나.연구 필요성 4 다.연구 목적 5 2. 선행연구 현황 5 3. 연구내용 및 방법 7 가.연구 내용 7 나.연구 추진 체계 7 다.자료 검검 기준 8 제2절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특성과 구조 11 1.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특성과 구조 11 2. 한국 자료 현황과 자료 작성 체계 15 제2장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한국 지표 검토 제1절 가족구조 지표 21 1. 가족구조 지표의 구성 21 2. 한국의 가족구조 지표 22 가.가족과 아동 22 나.출산과 가족 34 다.혼인 및 파트너십 상태 44 3. 소결: 한국의 가족구조 지표 생산 방안 52 가.개선필요 53 나 자료없음 53 제2절 가족의 노동시장 지위 지표 55 1. 가족의 노동시장 지위 지표의 구성 57 2. 한국의 가족의 노동시장 지위 지표 58 가.아동 및 가족유형별 취업 현황 58 나.근로시간 및 돌봄시간 92 3. 소결: 한국의 가족의 노동시장 지위 지표 생산 방안 93 가.개선필요 93 나.자료없음 94 제3절 가족·아동정책 지표(1): 가족·아동정책 출산지원와 자녀관련 휴가지표 1. 가족·아동정책 출산지원와 자녀관련 휴가지표의 구성 97 2. 한국의 가족·아동정책 출산지원와 자녀관련 휴가지표 98 가.가족·아동정책 출산지원 98 나.자녀관련 휴가정책 131 3. 소결: 한국의 가족·아동정책 출산지원와 자녀관련 휴가지표 생산 방안 152 가.개선필요 152 나.자료없음 155 제4절 가족·아동정책 지표(2): 아동돌봄서비스 1. 아동돌봄서비스 정책 지표의 구성 157 2. 한국의 아동돌봄서비스 지표 158 가.영유아 돌봄서비스 158 나.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176 3. 소결: 한국의 아동돌봄서비스 지표 생산 방안 186 가.개선필요 186 나.자료없음 187 제5절 아동성과 지표 1. 아동성과 지표의 구성 193 2. 한국의 아동성과 지표 194 가.보건 194 나.교육·진로 213 다.사회환경 239 제3장 요약 및 지표 생산체계 제안 제1절 한국 지표 검토 결과 요약 1. 한국 지표 검토 결과 총괄 249 2. 영역별 지표 검토 결과 252 가.가족 구조(SF, structure of families) 252 나.가족의 노동시장 지위(LMF, labour market position of families) 258 다.가족·아동정책(PF, public policies for families and children) 262 라. 아동성과(CO, child outcomes) 271 3. 소결: 지표별 현상 및 지표 검토 결과 280 제2절 국제비교지표 산출 거버넌스 체계(안) 및 향후 과제 1. 향후 OECD 국제비교지표 산출 거버넌스 체계(안) 293 가.국가통계체계에서의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안) 293 나.향후 국제비교지표 산출 거버넌스 담당자 연석회의 296 2. 향후 과제 296 참고문헌 297 부록 303 부록. ‘결정’ 지표 303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 |
dc.title | 가족·아동 국제지표 산출방안 연구: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지표를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indicators for families and children: focusing on OECD Family Database Indicators | - |
dc.type | Report | - |
dc.citation.volume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3-24-01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31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김은지. (2023-05-12). 가족·아동 국제지표 산출방안 연구: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Family Database) 지표를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3-24-01, 1–311. | - |
dc.identifier.url | https://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 | - |
dc.subject.keyword | 가족·아동 통계지표 | - |
dc.subject.keyword | 국제비교지표 | - |
dc.subject.keyword |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 | - |
dc.subject.keyword | family and child statistical indicators | - |
dc.subject.keyword | international comparative indicators | - |
dc.subject.keyword | OECD Family Database | - |
dc.type.local | 수탁연구보고서 | - |
dc.type.other | Research Report | - |
dc.relation.projectName | 보육 국제비교지표 산출방안 연구 | - |
dc.relation.projectCode | CR222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