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을 전후하여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주당 이용시간 및 월평균 이용비용도 상승한 경향이 발견됨. ∙ 영유아의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 기관은 단시간 학원이 가장 주된 방식이며, 이용 과목은 학습보다는 예체능 관련 과목이 많음. ∙ 시간제 사교육을 이용하는 이유는 ‘자녀가 또래 아이들에 뒤쳐질까봐 걱정됨’, ‘재능이나 소질을 개발시키기 위함’, ‘선행학습 필요’ 등으로, 부모들은 보육·유아교육 기관의 교육과정만으로는 아동의 인지적 발달에 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최근의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의 변화는 코로나19로 인해 보육·유아교육 기관 이용 시작 시기가 좀 더 늦은 연령으로 미뤄지면서, 영유아 부모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것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양질의 방과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산, 코로나19로 인해 기관 이용 시작 시기가 지연된 영유아에 대한 집중 케어 프로그램 제공, 아동에게 충분한 휴식과 놀이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 및 부모의 합리적 선택을 돕기 위한 부모 교육 및 객관적 정보 제공 노력 등이 요구됨.
Table Of Contents
1. 연구 필요성 2. 영유아의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 3. 서비스 유형별 이용 실태 4. 정책적 시사점 및 기대효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