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난옥 | - |
dc.contributor.author | 장지현 | - |
dc.date.accessioned | 2024-12-31T13:58:56Z | - |
dc.date.available | 2024-12-31T13:58:56Z | - |
dc.date.issued | 2024-12-3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794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초-중 전환기 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미디어 기기 중독 프로파일의 변화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3차~14차 조사 참여자 중 미디어 기기 중독에 대한 부모 진단 자료가 있는 1,138명에 대해 잠재전이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미디어 기기 중독의 프로파일은 초6과 중1 시기 모두 3개(일반사용자, 잠재적 위험, 위험)로 나타났다. 두 시기 모두 3개 집단 중에서 위험 집단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초6 시기에 잠재적 위험 집단에 비해 일반사용자 집단이 높았던 반면, 중1 시기는 잠재적 위험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미디어 기기 중독 프로파일이 부정적 방향으로 전이하는 데 시간 사용 만족도, 학교생활 느낌, 학습태도, 컴퓨터 사용 능력, 양육 스트레스, 신체활동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의 미디어 기기 중독 예방을 위한 또래 및 부모-자녀 간 관계의 질 고려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media device addiction profile of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negative transition. For this purpose,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nalysis were performed on 1,138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13th and 14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dia device addiction in the 6th and 7th grades were commonly categorized into high-risk, potential-risk, and normal groups. The proportion of the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otential-risk group in the 6th grade.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potential-ris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n 7th grade. Second, the transition of media device addiction profiles in a negative dire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ime use satisfaction, perceptions of school life, learning attitudes, computer proficiency, parenting stress, and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a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자료 가. 종속 변인 나. 설명 변인 다.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미디어 기기 중독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미디어 기기 중독의 프로파일 유형 및 종단적 변화 가. 잠재프로파일 수 나. 잠재프로파일 양상 다.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전이 확률 3.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미디어 기기 중독 프로파일 전이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가. 관심 집단과 참조 집단의 설정 나. 분류 정확도 다. 주요 영향요인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초-중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 - |
dc.title.alternative | Exploring patterns of change and factors influencing media device addiction during transitional period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nalysis | - |
dc.type | Periodical | - |
dc.citation.title | 육아정책연구 | - |
dc.citation.volume | 18권 3호 | - |
dc.citation.startPage | 125 | - |
dc.citation.endPage | 148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김난옥. (2024-12-31). 초-중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육아정책연구, 18권 3호, 125–148. | - |
dc.subject.keyword | 미디어 기기 중독 | - |
dc.subject.keyword | 전환기 청소년 | - |
dc.subject.keyword | 잠재전이분석 | - |
dc.subject.keyword | 랜덤 포레스트 | - |
dc.subject.keyword | 한국아동패널 | - |
dc.subject.keyword | media device addiction | - |
dc.subject.keyword | adolescents in transition | - |
dc.subject.keyword | latent transition analysis | - |
dc.subject.keyword | random forest | - |
dc.subject.keyword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 |
dc.type.local | 육아정책연구 | - |
dc.type.other | 정기간행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