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최효미 | -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설 | - |
dc.contributor.author | 최윤경 |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훈 | - |
dc.contributor.author | 김지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자연 | - |
dc.contributor.author | 조혜주 | - |
dc.date.accessioned | 2025-05-19T10:02:05Z | - |
dc.date.available | 2025-05-19T10:02:05Z | - |
dc.date.issued | 2024-12-23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843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Ⅰ. 서론 33 1. 조사의 배경 35 2. 조사 목적 37 3. 조사 수행 개요 37 4. 응답자 특성 59 5. 용어 정의 및 유의사항 62 Ⅱ. 영유아 보육사업 현황 63 1. 어린이집 설치 및 이용 65 2. 비용 지원 78 Ⅲ. 아동 가구와 가구원 특성 87 1. 인구학적 특성 89 2. 사회・경제적 특성 100 3. 시사점 131 Ⅳ. 영유아 양육 특성 133 1. 하루 중 돌보는 사람 및 이용기관 135 2. 부모의 양육특성 및 양육지원서비스 이용 144 3. 장애 영유아 양육 165 4. 추가 출산 의향 171 5. 시사점 175 Ⅴ. 영유아 보육・교육서비스 이용 및 요구 개요 179 1. 최초 보육・교육기관 이용 경험 181 2. 연령대별 보육・교육 이용 실태 185 3. 현재 보육・교육기관 이용 실태 188 4. 보육・교육기관 이용 비용 210 5. 보육・교육기관 부모서비스 제공 223 6. 보육・교육기관 특별활동프로그램 228 7. 보육・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237 8. 영유아 가구의 취학 전 보육・교육서비스 이용 의사 240 9. 소결 및 시사점 255 Ⅵ. 어린이집 이용 및 요구 259 1. 어린이집 이용 특성 261 2. 어린이집 이용 비용 293 3. 어린이집의 제공 서비스 302 4. 어린이집 특별활동 310 5. 어린이집 이용 만족도 및 개선 요구 322 6. 연장보육과 그 밖의 연장형 보육 330 7. 시간제보육 이용 실태 348 8. 어린이집 입소 대기 경험 351 9. 보육정책 인지도 및 관련 인식 357 10. 시사점 371 Ⅶ. 유치원 이용 및 요구 375 1. 유치원 이용 특성 377 2. 유치원 이용 비용 402 3. 유치원 제공 서비스 410 4. 방과후 특성화프로그램 414 5. 유치원 만족도 및 개선 요구 422 6. 시사점 425 Ⅷ. 반일제이상 학원 이용 및 요구 427 1. 반일제이상 학원 이용 특성 429 2. 반일제이상 학원 이용 요일 및 시각 관련 433 3. 반일제이상 학원 이용비용 442 4. 기타 반일제 이상 학원 등・하원 방법 및 소요 시간 447 5. 반일제이상 학원 이용 만족도 449 6. 반일제이상 학원 부모서비스 및 특별활동 451 7. 시사점 459 Ⅸ. 개인양육지원서비스 이용 459 1. 개인양육지원서비스 이용 특성 461 2. 혈연 개인양육지원서비스 이용 467 3. 비혈연 개인양육지원서비스 이용 478 4. 시사점 487 Ⅹ.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 실태 487 1. 시간제 사교육 서비스 이용 아동 특성 489 2. 시간제 사교육기관 이용 실태 492 3. 개별교육 이용 실태 504 4. 시사점 515 Ⅺ. 육아정책 관련 인식 515 1. 영유아 가구의 육아지원정책 방향에 대한 인식 517 2. 영유아 보육・교육 인프라 관련 인식 519 3. 영유아 보육・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536 4. 보육・교육비 지원 정책 인식 및 만족도 537 5. 육아지원 정책 전반에 관한 의견 542 6. 소결 및 시사점 557 Ⅻ. 결론 559 1. 유보통합을 고려한 보육수요 예측 및 수급 전략 수립 필요 561 2. 어린이집, 유치원 이용자 만족도 향상, 추가개선 사항 562 3. 비용 지원 정책의 효과성 제고 563 4. 보육정책에 대한 인지도 제고 564 5. 육아시간 지원 정책 및 남성 육아참여 활성화 565 6. 가정양육 부모 지원 및 시간제 보육 인지도 개선 노력 필요 565 참고문헌 568 부록 571 1. 2024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 조사표 571 2. 2024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아동 조사표 584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교육부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2024년 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 - |
dc.type | Report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607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최효미. (2024-12-23). 2024년 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1–607. | - |
dc.type.local | 수탁연구보고서 | - |
dc.type.other | Research Report | - |
dc.relation.projectName | 2024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 - |
dc.relation.projectCode | CR241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