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지연 영유아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시급하다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강은진 | - |
dc.date.accessioned | 2025-09-03T17:43:35Z | - |
dc.date.available | 2025-09-03T17:43:35Z | - |
dc.date.issued | 2025-09-03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873 | - |
dc.description.abstract | · 해마다 발달지연 의심 영유아와 장애 영유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특수교육·보육 대상이 아니어서 조기 개입 대상이 아닌 발달지연 영유아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임. · 우리나라는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영유아보육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등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을 위한 규정과 제도에 근거해, 다부처에 관련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나 실행을 위한 컨트롤타워는 부재함. ·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일과 중에 발달이 느린 영유아를 인지하더라도, 보호자에게 알리고 영유아에게 필요한 지원을 연계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임. 발달검사 실시를 통한 선별 및 선별 결과를 기초로 한 상담서비스 제공 모두 보호자의 동의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임. · 영유아의 발달은 일상적 맥락에서 다각도의 관찰을 통해 평가되어야 함.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가 교육·보육과정의 하루일과를 운영하는 가운데 영유아의 발달 상황을 살펴보며, 보호자들 역시 자녀의 발달적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지원을 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음. · 발달지연 영유아에 대한 조기 선별과 적정 개입은 질 높은 예방적 지원의 핵심이라는 보호자들의 인식 제고 및 정보 전달력 강화 · 영유아기부터 기관 유형을 초월한 통합적 지원체계 필요 · 범정부 통합 영유아 건강지원체계의 컨트롤 타워 구축 및 제도 정비 필요 · 지역 기반 영유아발달지원센터 설립 및 전문인력 배치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발달지연 영유아 증가세 지속 Ⅱ. 발달지연 영유아를 위한 지원과 운영체계의 실효성 부족 Ⅲ. 보호자 신청에 의존한 영유아 발달 지원 서비스 Ⅳ. 발달지연 영유아 지원을 위한 정책 제안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발달지연 영유아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시급하다 | - |
dc.type | Periodical | - |
dc.citation.title | 육아정책 Brief | - |
dc.citation.volume | 103호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강은진. (2025-09-03). 발달지연 영유아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시급하다. 육아정책 Brief, 103호, 1–5. | - |
dc.type.local | 육아정책 Brief | - |
dc.type.other | 정기간행물 | - |
dc.relation.projectName |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Ⅲ):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도구 표준화 및 지원 모델 개발 | - |
dc.relation.projectCode | GR240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