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제도와 실태 연구

Metadata Downloads
Title
중국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제도와 실태 연구
Author(s)
문무경양미선이윤진박원순Jixiong ZhuMinyi Li
Issued Date
2015-11-30
Publishe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494
Abstract
세계 여러 국가와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 역시 유아교육을 평생 교육의 출발점이자 국민교육체제의 주요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사회 공익사업으로 간주하고 있다. 개혁 개방 이래 중국의 유아교육은 지대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서비스 이용수준도 제고되었다. 그러나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때 유아교육은 여전히 다른 학교급 교육에 비해 취약하며, 인력자원의 부족, 체제의 불완전성, 도농간의 발전 불균형, 입학난 등의 당면 문제들이 산재해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국은 유아기 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질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교육수준을 지적하면서, 유아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유치원교사 국가고시 도입 및 유치원교사와 원장의 전문성에 대한 국가 기준 제시 등, 유아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지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아동학대 사건 등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인성적 자질향상에 대한 요구가 부각되고 있으며, 유보통합의 핵심 현안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자격기준 및 양성체제 통합방안을 모색 중이다. 우리나라의 유아교원 양성과정은 상당히 서구의 영향을 받은 경향이 있으므로 중국을 연구함으로써 동양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교사상 및 교원교육의 핵심적 가치 등을 재발견하고 정책 현안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중국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과정과 실태를 파악하고, 우리나라와의 비교를 통하여 관련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상호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현지의 유아교원 양성과 현직교육자 총 243명과 현직교원 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양성기관 유형별(직업고등학교, 2-3년제, 4년제)로 16개 기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2종과 사례조사는 모두 중국본토의 동부, 중부, 서부지역으로 구분하여 균형있게 실시하였다. 이외에도, 중국 교육부 기초교육국 학전교육 담당자와 상해 교육위원회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가수준의 최근 유아교원 정책과 성시(省市) 수준의 현직교육체제 등에 대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중국 현지의 공동연구진 및 국내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정책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중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현황 및 주요 정책을 개관하였다. 2013년 기준 중국 전체의 유치원수는 198,553개이고 재원아수는 38,946,903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립유치원이 전체 유치원의 67.2%를 차지하며, 촌 지역보다는 도시와 진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유치원 수가 증가하면서 근무하는 교원 수도 2010년 1,849,301명에서 2013년 2,826,753명으로 약 53%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교원의 약 65%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다. 전문대를 졸업한 유치원 교사 비중이 2013년 52.5%로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4년제 대졸 유치원 교사의 비중도 16.6%로 상승 추세인 반면, 고졸 또는 중졸 이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중국 유아교원교육의 역사, 자격제도 및 현황, 관련 최근 정책을 파악하였다. 중국 유아교사(원장 포함) 자격 대상과 기준, 자격취득 방식, 자격취득 현황 및 실제 근무 현황(연도별 추이) 등을 분석하고, 최근 도입, 추진 중인 유아교원정책을 검토하였다. 중국의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은 2012년 기준, 총 2,751개교로 중등학교(직업고등학교와 기타 고등학교)가 84% 정도를 차지한다. 4년제 대학교는 사범대학교와 기타가 각각 80개교로 비슷한 수준이나, 2~3년제 전문대는 사범대학교와 사범단과대학이 1/3 정도이고 다수가 기타 유형이다. 각급 재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 재학생 중 52.0%가 사범대학교에, 2~3년제 전문대 학생 중 20.3%는 사범단과대학에 다니고 있다. 중등학교 재학생 중 전문고등중등학교(직업고등학교) 학생은 22.6%를 차지한다.
최근 중국정부의 대표적인 유아교원교육 정책은 유치원교사 국가고시 도입, 유치원 교사와 원장의 전문성에 대한 국가기준 제정, 중서부 농촌지역 교사연수 강화이다. 유치원교사 국가고시는 유치원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2013년에 실험적으로 4개 성(省)에서 도입되어 2015년 9월부터 전면 확대 실시되었고 종합소양과 전공시험을 보는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치원교사와 원장의 <전문성 기준>은 유치원교육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이기 때문에 엄격한 교육과 훈련을 받고 양호한 직업적 도덕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전문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① 적격한 유치원 교사와 원장이 갖춰야 할 전문 소양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 사항이며, ② 유치원 교사와 원장이 보육 활동을 실시할 때 지켜야 할 기본적인 행위 규범이고, ③ 유치원 교사와 원장의 전문성 발전을 이끄는 기본 원칙이며, ④유치원 교사와 원장을 양성하거나 연수, 평가기준 설정 시에 참고해야 할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중서부 교원연수 프로그램 및 국가수준 유아교사교육은 교육부와 재정부에서 일괄적으로 기획하고 특별자금을 제공하며, 성급(省级) 교육부서와 재정 부서에서 조직하여 실행하고 있다. 연수프로그램 운영은 전문성을 갖춘 대학교나 기관을 선별하여 위탁하며, 도농교환연수(치환탈산연수), 단기 집중교육과 원격교육 세 가지 교육 형태로 구분된다.
제 4장에서는 중국 유아교원 양성교육과정 및 체제를 분석하였다. 양성기관 유형 및 현황, 교원양성 전문가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특히 양성교육과정을 심층 분석함에 있어서 교사상, 교양, 전공, 교직, 실습 등의 이수학점 및 과목, 유아교사 양성 커리큘럼의 특징, 질 관리체제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학교급별을 불문하고 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모택동, 등소평의 삼개이론과 중국사회주의 이론을 이수해야 하며, 4년제보다는 2, 3년제가, 2, 3년제보다는 직업고등학교에서 이론과 기능을 겸비한 전문가보다 는 기능인, 기술인에 가까운 교사양성에 주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문학교와 직업고등학교 출신의 유아교육과 졸업생에게는 중국 표준어 구사 능력 시험인 ‘보통화’ 국가시험, 영어 능력 시험, 계산 응용 능력 시험에서 일정한 수준을 통과해야 유치원 교사 자격증이 부여된다. 한편, 영어와 컴퓨터를 매우 중시하여 공통과목에 편성되어 있으므로 유치원 교사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유아교육과 학생들도 필수도 이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치원 교사에게도 영어구사와 컴퓨터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실습을 매우 중시하며 저학년부터 고학년에 거쳐 편성, 운영되고 있다. 실습기간이 대개 16〜18주 이상으로 긴 편이며 유치원 현장을 나가지 않는 학기 중에도 실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유아교원 양성기관에서 교수자는 박사학위자보다는 석사학위자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공은 유아교육 전공자와 교육학 전공이 많은 편이다. 양성교육자의 대부분이 여성이며. 현재 운영 중인 유아교원 양성과정은 약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5장에서는 중국 유아교원 현직교육과정 및 체제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승급 및 직무교육 관련 현황(현직교육기관 및 현직교육 이수 현황 등), 현직교육과정 내용 및 방식(강의식, 워크숍, 현장관찰 등), 현직교육 이수를 위한 지원(대체교사 지원, 인센티브 제공 등), 현직교육과정의 질 관리체제를 분석하였다.
중국 유아교원은 한국과 비교하여 상당한 현직연수 교육기회를 가지고 있으나, 집합연수보다 원격연수의 교육횟수나 교육시간이 많아서 집합연수 참여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조사결과, 교육횟수는 집합연수 11.4회, 원격연수 21.3회, 복합연수 20회, 교육시간은 각각 187.3시간, 231시간, 369.1시간이었다. 중국은 면적이 한국의 96배나 되는 지리적인 특징으로 원격연수가 보다 수월할 수 있으나, 집합교육이 교원교육에 더 효과적이므로 지역 내에서의 집합연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영아 관련 연수에 참여한 비율은 19.1%로 적었으나, 92.9%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중국 유아원은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나, 최근 발표된 ‘두 자녀 정책’으로 향후 영아의 기관 이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으로 영아 관련 연수를 개발 및 보급하여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원의 현직교육은 교내 전공교수 33.7%, 외부 전공교수 24.5%, 우수 유치원 교사 초빙 13.0% 등이었으나, 유아 교원이 희망하는 연수 담당자는 유치원 원장이 34.9%로 많았다. 또한 효과적인 현직교육 방법으로 경력교사와의 만남을 통한 멘토링 워크숍이 29.6%, 사례 중심 교육 28.5%, 주제 관련 이론 강의와 수업의 다양한 실제 연계 25.7%로 현장 중심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중앙 정부의 유아교육 분야에 대한 예산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유아교육개혁 추진 정도에 대해 과반수 이상이 긍정적이었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원은 가장 큰 이유로 28.9%는 중앙 정부의 예산지원 미흡을 지적하였고, 18.9%는 중앙정부의 다양한 현직교육 프로그램 부족, 17.8%는 관련 법령 부재로 인한 구속력 미흡, 18.9%는 현직연수에 대한 인센티브의 부재를 들었다.
또한 유아교원이 참여한 연수의 교육내용과 유아교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에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므로 유아교원 대상의 수요 조사를 통해 교원 연수의 주제를 다양화하고, 경력별로 교사 연수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제 6장에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유아교원교육의 주요 이슈를 분석, 논의하여, 양성 및 현직교육과정 개선 요구 사항(교과목, 관련 주요 이슈(예: 영아교사 교육과정, 농촌지역 영유아교사 수급문제, 온라인 교사교육, 현직교육의 효과 평가 등) 및 쟁점, 한중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였다.
교사 자격체계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치원 정교사 2급, 1급, 원감, 원장의 자격체계를 갖추고 있는 반면, 중국의 자격기준은 교사와 원장의 자격체계로 되어 있다. 즉, 중국의 경우 교사 경력에 따라 직위는 상승하나 (예: 교무주임, 부원장[원감]), 자격증 자체는 단일하다. 실습에 대한 비중이 우리나라보다 현저히 높아 중국의 실습기간은 우리나라에 비해 거의 5배에 달한다. 또한 우리나라와 달리 교직과목이 별도로 편성되어 있지 않고 전공 필수과목 내에 기초과목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사상의 근간이 되는 정치사상 교과목은 일반 공통필수과목으로 강조되고 있다. 중국 유치원 교사 양성과정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양성과정에서 보육과 교육을 통합적인 개념으로 보고 있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자격기준과 양성체제를 통합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보편적인 연수기회 제공을 비롯하여 집합교육의 활성화, 연수기관 중심이 아닌 개별교원의 요구에 부합하는 연수주제와 내용 제공, 현장중심의 교육방식 선호 등은 중국도 예외가 아니다. 현직연수의 효과를 만족도 조사 및 자체평가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은 점 또한 유사하다. 한편, 중국의 경력별 교사연수 세분화를 위하여 한국에서 유치원교원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생애주기별 전문성 제고 연수, 그리고 최근 도입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중국에 좋은 참고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 7장에서는 중국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양국은 공통적으로 교사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자격기준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처우 및 근무여건 개선 (특히, 교사 대 유아 비율 축소), 선도적인 양성대학의 리더십, 현직연수에 대한 지방정부의 책무성 및 역할 강화, 현직연수를 승급과 연계 및 재정적, 비재정적 인센티브 제공, 농어촌 지역의 교사 네트워크 강화, 현장중심 교원교육자 양성 등은 양국이 공유하는 교원교육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4천만의 0-2세 영아를 위하여 영아교사 자격기준 및 양성과정이 시급히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유아교원 자격기준에 포함하여 일원화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사료된다. 한편 2015년에 전면 시행되고 있는 중국의 유치원교사 국가고시는 우리나라가 현재 예정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국가고시제 도입에 좋은 참고가 되며, 특히,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유치원교사와 원장의 전문성 기준은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교육선진화정책의 일환으로 유치원교원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였으나, 현장에 적용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현장밀착형 양성과정을 위한 실습 강화, 전통적인 가치와 문화를 교원 양성교육에 반영하려는 중국 대학들의 노력 등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자국의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을 정립하고, 이러한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술을 길러줄 수 있는 양성교육과 평생에 걸쳐 전문성을 신장하는 현직연수가 개발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양국의 지혜와 경험을 집결하고 공유하기를 기대한다.
Table Of Contents
❙국문 요약 5
❙제1장 서 론 2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2. 연구내용 25
3. 연구방법 26
가. 문헌연구 26
나. 현지조사 27
다. 설문조사 실시 29
라.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37
마. 정책세미나 개최 37
사. 중국 전문가 활용 38
4. 선행연구 39
가. 국내 선행연구 40
나. 중국 본토의 선행연구 41
❙제2장 중국 유아교육과 보육 개관 47
1. 사회문화인구학적 배경 48
가. 행정구역 48
나. 인구 49
다. 경제 52
라. 교육 52
2.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 54
가. 개관 54
나. 유치원 관련 규정 57
3. 유아교육과 보육 현황 58
가. 개요 58
나. 유치원 수 59
다. 원아수 62
라. 교직원수 65
마. 유아교육 재정 68
❙제3장 중국 유아교원교육 현황과 제도 및 정책 71
1. 중국 유아교원교육의 역사 72
가. 제1기: 1949년~1966년 72
나. 제2기: 1976년~2010년 75
다. 제3기: 2010년 이후 79
2. 영유아교원의 자격기준 및 교육제도 81
가. 예비교사 양성제도 81
나. 유치원 교사 자격기준 83
3. 영유아 교원교육 현황 85
4. 유아교원교육 정책 87
가. 유치원교사 국가고시 도입 정책 87
나. 유치원 교사와 원장의 전문성에 대한 국가기준 제정 92
다. ‘국가수준 교육계획’ - 중서부 농촌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 우수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리 강화 102
❙제4장 중국 유아교원 양성교육 107
1. 양성교육 목표 108
2. 양성과정 교과목 113
가. 교과목 편성 114
나. 교과목 개정 127
3. 실습 131
가. 실습과정 개요 131
나. 실습 현황 131
다. 실습 장소 134
라. 실습 시 어려운 점 135
4. 학점 및 이수시간 136
5. 양성교육 교육자의 자격기준 137
6. 양성과정의 질 관리 및 개선 요구 138
7. 소결 140
❙제5장 중국 유아교원 현직교육 143
1. 현직교육 참여 현황 144
가. 현직교육 참여 동기 144
나. 현직교육 참여 횟수 및 시수 146
다. 현직교육 실시 주체 150
2. 현직교육 커리큘럼 152
3. 현직교육 방법 및 시기 159
4. 현직교육 강사의 자격기준 161
5. 현직교육 비용 및 지원 164
6. 현직교육의 질 관리 및 효과 평가 167
7.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 168
가. 현직교육 시간 168
나. 현직교육 강사 자격기준 170
다. 현직교육의 방법 171
라. 현직교육에 대한 보상 172
마. 전문성 향상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 173
8. 소결 177
❙제6장 한중 유아교원 양성과 현직교육 비교 및 주요 이슈 181
1. 한중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제도와 실태 비교 182
가. 양성교육 182
나. 현직교육 186
2. 주요 이슈 188
❙제7장 정책적 제언 191
1. 중국 유아교원교육 향상을 위한 제언 192
2. 우리나라 유아교원교육 향상을 위한 제언 195
❙참고문헌 199
❙부 록 205
1. 2015년 중국 유아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설문조사(교원교육자용) 206
2. 2015年中国幼儿教师培养与现职培训问卷调查(教师培训人员用) 217
3. 2015년 중국 유아 교원 현직교육 설문조사(현직교원용) 226
4. 2015年中国幼儿教师在职教育问卷调查(在职教师用) 234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5. 수탁연구보고서
파일 목록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