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문제 해결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승희 -
dc.date.accessioned 2020-06-25T08:03:47Z -
dc.date.available 2020-06-25T08:03:47Z -
dc.date.issued 2016-06-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18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문제 해결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따라 서술적 분석과 내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첫째,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문제는 2003년 이후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며,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문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주로 양적 연구방법이 사용되다가 2006년 이후에 질적 연구방법의 사용이 급증하였으며, 혼합 연구는 정책을 제시하는 문헌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둘째, 조손가족 조부모는 손자녀와의 세대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조부모-손자녀 관계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일상적 스트레스로서 조부모의 신체적·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손자녀의 학교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부모-손자녀 간 대화의 내용과 형식을 다양화함으로써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학부모 모임이나 자조모임과 같은 사회적 관계망의 현실성을 보여줌으로써 조손가족 조부모가 양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lutions to the nurturing problem of grandparents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using literature analysis. This study operated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mes and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rturing problem of grandparents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had been actively discussed since 2003, and there were a lot of research on the nurturing experienc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mainly used in the beginning, but the usag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Mixed research was used a lot in the literature suggesting policies. In addition, there was a communication problem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resulting from a generation ga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was the dominant cause of the nurturing stress of grandparents. In particular, the nurturing stress of grandparents as daily stress negatively affected grand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s well as grandpar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nurturing problem of grandpar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by diversifying the contents and forms of communication.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that grandparents are able to use in order to solve the nurturing problem, by showing the reality of social networking including parents meeting or self-help group.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문제 해결방안 -
dc.title.alternative A Literature Research on the Solutions to the Nurturing Problem of Grandparents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0권 1호 -
dc.citation.startPage 1 -
dc.citation.endPage 3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김승희. (2016-06-30).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문제 해결방안. 육아정책연구, 10권 1호 1-30. -
dc.subject.keyword 사회적 자본 -
dc.subject.keyword 조손가족 -
dc.subject.keyword 양육문제 -
dc.subject.keyword 조부모-손자녀 관계 -
dc.subject.keyword social capital -
dc.subject.keyword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
dc.subject.keyword nurturing problem -
dc.subject.keyword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011.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