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Title
보육교사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f Child-Care Teachers
Author(s)
이재무박용성
Keyword
보육교사직무요구직무자원이직의도직무열의child-care teacherjob demandsjob resourcesturnover intentionjob engagement
Issued Date
2017-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44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그러한 관계 속에서 직무열의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직무요구에 따른 압박은 크게 느끼는 편이 아니었으며, 직무자원도 일부 요인을 제외하면 크게 효용성을 실감하지 않는 편이었다. 반면에 직무열의 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며, 이직의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변수별 영향 관계는, 직무요구와 이직의도 간 정적(+) 관계, 직무자원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 관계, 직무요구와 직무열의 간 부적(-) 관계, 직무자원과 직무열의 간 정적(+) 관계,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 부적(-) 관계가 각각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직무요구와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직무자원과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도 직무열의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determines how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f a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influence th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confirms whether job engagement, an important fa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eracts as a mediation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did not fully feel pressure because of job demands nor did they realize the effect of job resources, except for some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job tenure was high, and the turnover intention was relatively low. The result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turnover intention,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job engageme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engagement,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job engagement acted as a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 and also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turnover inten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111.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