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우울,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수로

Metadata Downloads
Title
아버지의 우울,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수로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s of Paternal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s Self-Control: with Mediation of Warm Parental Behavior
Author(s)
김진성
Keyword
한국아동패널아버지 우울자아존중감양육스트레스온정적 양육행동유아의 자기통제능력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aternal depressionself-esteemparenting stresswarm parental behaviorchild’s self-control
Issued Date
2017-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45
Abstract
본 연구는 아버지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수로 유아의 자기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 중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한 데이터이며, 이중 결측치를 제외한 1,455 가구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분석 데이터로 선정된 자료는 SPSS 24.0 WIN과 AMOS 24.0 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아버지의 우울,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그리고 유아의 자기통제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우울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유의하게 미쳤으며,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온정적 양육행동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우울은 유아의 자아통제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아버지의 우울,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는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자아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유아의 발달을 위하여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감을 낮추는 한편, 긍정적인 자아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인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fluences of paternal depression, self-esteem, parenting stress, and warm parental behavior of father on child’s self-control. For the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ested.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the seventh data collected for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PSS 24.0 WIN and Amos 24.0 WIN program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with 1455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ternal depress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and self-esteem had negative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Also, depression and self-esteem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warm parental behavior through parenting stress. Second, paternal depression did not influence child’s self-control directly. However, through paternal warm parental behavior as a mediator, paternal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nfluenced child’s self-control indirect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 programs, to reduce paternal depression, that influences parenting stress and professional support programs to promote positive self-esteem.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112.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