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Title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Colleague Conflict
Author(s)
이지영김성원김진원
Keyword
기혼 보육교사직무 스트레스일-가정 갈등동료 갈등삶의 질married childcare teachersjob stresswork-family conflictcolleague conflictquality of life
Issued Date
2017-09-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57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서 기혼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238명의 기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와 적률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경로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하위변인 중 업무 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가정 갈등과 동료갈등은 높게 느끼는 편은 아니었다. 반면 삶의 질의 하위변인 중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는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전반적인 삶의 질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동료 갈등과 직무 스트레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세 변인과 삶의 질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동료 갈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영향을 행사할 때 일-가정 갈등을 줄이면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기혼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일부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혼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과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과 동료 갈등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and any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s and colleague confli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8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a metropolitan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to verify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participants' overall job stress was not high, they scored relatively high on work-related stress, a sub-factor of job stress. Also, their score for tension conflicts within work-family conflicts was not high. They scored moderately high on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whereas they scored relatively low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work-family conflict, colleague conflict, and job stres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work-family conflict, colleague conflict, and job stress—and quality of life. Third, while work-family conflict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conflict among colleagues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It can be implied that when the quality of life is negatively affected by job stress, reducing work-family conflic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123.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