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수요 및 대응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정림 | - |
dc.date.accessioned | 2021-06-01T05:06:59Z | - |
dc.date.available | 2021-06-01T05:06:59Z | - |
dc.date.issued | 2020-10-13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131 | - |
dc.description.abstract | ∙ 초등입학기인 초등1학년 자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육아서비스는 ‘학원’(81.0%)이며, 다음으로 ‘부모 직접 돌봄’(74.4%), ‘방과후학교’(62.7%), ‘초등돌봄교실’(16.6%), ‘조부모 돌봄’(10.6%) 순으로 나타남(중복응답). ∙ 초등입학기 자녀를 둔 가구의 경우 초등학교 입학 후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지 못할 시, 대부분 사교육으로 돌봄을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었음. ∙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공공부문 육아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키즈카페 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는 ‘초등돌봄교실 확충’, ‘공공개별돌봄서비스 비용 지원 대상 확대’, ‘육아휴직 등을 마음 놓고 이용할 수 있는 직장 지원 강화’, ‘초등학생이 이용할만한 프로그램 확대’ 등을 개선되어야 하는 정책으로 꼽았음.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2.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이용 실태 3.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이용 수요와 실제의 간극 현황 4. 육아정책 관련 초등입학기 자녀 부모 의견 및 요구 5.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수요 대응방안 참고문헌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수요 및 대응방안 | - |
dc.type | Issue Paper | - |
dc.citation.volume | 이슈페이퍼 2020-12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2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이정림. (2020-10-13). 초등입학기 자녀 가구의 육아서비스 수요 및 대응방안. 이슈페이퍼 2020-12 1-21. | - |
dc.type.local | 이슈페이퍼 | - |
dc.type.other | 이슈페이퍼 | - |
dc.relation.projectName | 영유아 가구의 육아서비스 수요 및 대응방안(Ⅱ) | - |
dc.relation.projectCode | GR190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