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행복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최혜선 | - |
dc.date.accessioned | 2021-09-30T07:18:05Z | - |
dc.date.available | 2021-09-30T07:18:05Z | - |
dc.date.issued | 2021-09-30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17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과 적응에 중요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행복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무환경으로는 물리적 환경으로 교실환경과 심리적 환경으로 업무 스트레스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의 7차년도(2014년) 조사에 참여하였던 유아가 다니는 육아지원기관의 담당교사 1,203명이다. 기술통계, 신뢰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교실환경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실환경과 업무 스트레스 모두 교사의 행복감을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의 물리적 환경과 함께 비물리적 환경이 모두 중요함을 밝혔으며 행복감과 같은 유아교사의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work environments,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ch interactions that are integral to a child's development and determine their capacity for adaptation. Work environments constitute the classroom environment as a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stress as a psychological environment. Measures were selected from the 7th wave(2014)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articipants included 1,203 teacher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environment as a physical environment only had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both, classroom environment and job stress had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e happiness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work environments including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are important for more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that focu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acher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가. 교실환경 나. 업무 스트레스 다. 행복감 라. 교사-유아 상호작용 마. 교사 자기 효능감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연구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 구조모형 분석 가. 측정모형 검증 나. 구조모형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행복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 |
dc.title.alternative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Work Environments,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 |
dc.type | Periodical | - |
dc.citation.title | 육아정책연구 | - |
dc.citation.volume | 15권 2호 | - |
dc.citation.startPage | 51 | - |
dc.citation.endPage | 7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최혜선. (2021-09-30).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행복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육아정책연구, 15권 2호 51-73. | - |
dc.subject.keyword | 교실환경 | - |
dc.subject.keyword | 업무 스트레스 | - |
dc.subject.keyword | 행복감 | - |
dc.subject.keyword | 교사-유아 상호작용 | - |
dc.subject.keyword | classroom environment | - |
dc.subject.keyword | job stress | - |
dc.subject.keyword | happiness | - |
dc.subject.keyword | teacher-child interaction | - |
dc.type.local | 육아정책연구 | - |
dc.type.other | 정기간행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