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학 전 타인과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와 가족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Title
취학 전 타인과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와 가족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hild's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aptation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Author(s)
김지윤이은진하승혁홍세희
Keyword
학업수행능력타인과의 상호작용학교적응조절된 매개효과한국아동패널academic performanceinteraction with othersschool adaptationmoderated-mediation effect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ssued Date
2021-12-31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221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취학 전 가족 외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수행능력간의 관계에서 취학 전 가족-아동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초등학교 4학년 시기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11차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2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또래 상호작용과 학교적응은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둘째,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 학교적응을 거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셋째, 아동이 경험한 교사 상호작용은 아동과 가족의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아동과 교사 상호작용만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이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아동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의의 및 후속 연구, 정책적 제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tudy also proposes to evaluate whether these mediating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The analysis for the media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as conducted with 1,203 children from the 7th and 11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eer interaction and schoo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others on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interaction on school adapt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that only teacher interaction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nd controlled by family interac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가. 독립변수
1) 교사-아동 상호작용
2) 또래-아동 상호작용
나. 매개변수
다. 종속변수
라. 조절변수
3. 연구모형 및 자료분석

Ⅲ. 연 결과
1. 주요 변수의 일반적 경향
가. 주요 변수들의 기술 통계량
나.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2. 타인과의 상호작용,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
가.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
나. 조절된 매개효과 및 간접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533.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