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에 따른 유아 정서조절의 차이

Metadata Downloads
Title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에 따른 유아 정서조절의 차이
Alternative Titl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by Patterns of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Author(s)
김선희
Keyword
정서사회화 유형정서표현정서반응정서지도유아 정서조절patterns of emotion socializationemotion expressivityemotion responseemotion coaching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ssued Date
2022-09-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30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중심접근을 통해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4~6세 유아 170명과 어머니이다.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정서사회화는 정서표현(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 정서반응(긍정 정서 수용, 부정 정서 수용)과 정서지도의 하위 요인의 조합에 따라 지지적 개입형, 비지지형과 부정 정서 중심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어머니가 비지지형 혹은 부정 정서 중심형일 때 보다 지지적 개입형일 때 유아의 정서조절 수준이 가장 높았다. 유아의 정서조절 발달 지원 방안으로서,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유아의 긍정 정서 함양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반영한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 및 실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and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based on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The sample included 170 children aged 4-6 and their mot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were identified (supportive involvement, unsupportive, and negative emotion-center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Mothers who were on supportive involvement profiles had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compared to mothers who were on unsupportive and negative emotion-centered profi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otion regulation between the unsupportive and negative emotion-centered profile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facilitate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grounded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for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가.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나. 유아의 정서조절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2.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
가. 어머니의 정서사회화의 잠재프로파일 수 결정
나.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특성
3.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621.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