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 데이터 관리 계획과 연구자료 활용성 확대를 위한 제고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자연 | - |
dc.date.accessioned | 2022-12-06T09:44:09Z | - |
dc.date.available | 2022-12-06T09:44:09Z | - |
dc.date.issued | 2022-12-02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357 | - |
dc.description.abstract | ∙데이터 관리 계획(Data Management Plan, DMP)은 데이터의 생산・수집의 목적, 방법, 대상 등 데이터 자체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사항 전반을 의미하며, 연구계획 단계에서 연구 결과물인 데이터 관리계획도 포함되어야 함. ∙OECD의 공공데이터 방향성과 함께 정부데이터의 공공데이터 개방화를 통해 공공의료, 경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전 세계적인 추세임. ∙연구회에 소속된 유관기관의 경우 대부분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통계자료 생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별도의 하부조직을 두고 있으며, 우리 기관도 육아정책분야의 증거기반 정책수립을 위해 데이터를 생산하여 대중에 공개해 오고 있음. ∙최근 3년(2019~2021년)에 걸쳐 수행한 109개 연구과제 목록을 바탕으로 연구보고서에 기술된 연구방법의 빈도와 비중을 살펴보니 설문조사는 기본과제와 일반과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연구방법으로 확인됨. ∙연구 자료의 공공데이터화 필요성과 적절성에 대한 점검 및 평가의 과정을 통해 유간 기관과의 자료 공유 및 연계를 통해 1차 자료 확보를 확보하여 재원 축소 및 새로운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자료 공유 및 연계를 바탕으로 한 공공데이터 개방과 그 기능이 유연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축적된 양적 자료를 일정한 방식에 따라 관리되어야 하며 연구자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담 부서와 전담인력이 필수적임.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배경 2. 국내・외 데이터 정책 동향 및 유관기관 데이터 관리 체계 3. 육아정책연구소 연구과제 실증적 분석과 경향 4. 육아정책연구소 연구과제 데이터 관리 5. 육아정책연구소 연구과제 데이터 관리 및 활용 방향성 참고문헌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육아정책연구소 | - |
dc.title | 육아정책연구 데이터 관리 계획과 연구자료 활용성 확대를 위한 제고 방안 | - |
dc.type | Issue Paper | - |
dc.citation.volume | 이슈페이퍼 2022-11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19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김자연. (2022-12-02). 육아정책연구 데이터 관리 계획과 연구자료 활용성 확대를 위한 제고 방안. 이슈페이퍼 2022-11, 1–19. | - |
dc.type.local | 이슈페이퍼 | - |
dc.type.other | 이슈페이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