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행정 조직과 기능 개선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문무경 -
dc.contributor.author 김아름 -
dc.contributor.author 김용 -
dc.contributor.author 김영민 -
dc.date.accessioned 2023-03-06T17:09:23Z -
dc.date.available 2023-03-06T17:09:23Z -
dc.date.issued 2022-12-31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03 -
dc.description.abstract As the deman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recentl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it public natu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more efficient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Si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s not yet part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offices of education are relatively small, and are not functionally separated unlike those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the efficien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aimed to identify issues and challenges of, and to impro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function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Reflecting upon the new governmental agenda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t also examined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s and explored their future tasks for integration. A range of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in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cluding surveys, stakeholder interviews, and case studies. Most of officials in local and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favored to have a independent administrative di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ch is the expertise of officials special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and measures were suggested not only to improv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lso to facilitate processes of integratingadministrative syst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약 1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 내용 16 3. 연구방법 17 Ⅱ. 연구의 배경 19 1. 시도교육청 행정조직 관련 법 21 2. 17개 시도 유치원 기본 현황 추이 분석 27 3. 선행연구 35 Ⅲ.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행정조직 기본 현황 및 업무 분석 43 1.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담당 행정조직 구조와 인력 현황 45 2.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행정업무와 기능 분석 66 3. 시도교육청 직무분석보고서의 유아교육 내용 분석 73 Ⅳ. 시도교육청 행정조직과 업무 및 개선 요구 79 1. 응답자 특성 81 2.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행정 인력과 조직 82 3. 유아교육 부서 업무량의 적절성 100 4. 교육청/지원청 및 직속기관과의 업무 연계 및 협력 113 5. 개선 요구 118 Ⅴ. 시도교육청 행정조직 유형별 사례 분석 121 1.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행정조직 유형 123 2. 유아교육 전담형 124 3. 유아교육 사무 혼합형 132 4. 유아교육 사무 분산형 142 5. 종합 분석 149 Ⅵ. 시도교육청과 지자체의 유아교육지원 연계협력 실태 분석 153 1. 시도교육청과 지자체 연계협력 관련 규정 155 2. 시도교육청과 지자체 연계협력 실태와 사례 158 3. 연계협력 방안 172 Ⅶ.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행정조직과 기능 개선 방안 175 1. 요약 및 결론 177 2. 정책 방안 179 참고문헌 187 Abstract 199 부록 201 부록 1. 시도교육청 담당공무원 면담 질문 목록 201 부록 2.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공무원 설문지 203 부록 3. 교육지원청별 유치원 기본 현황(2022) 216 부록 4. 설립 유형에 따른 유치원 기본 현황 추이 분석 (2017-2021) 243 부록 5. 교육지원청별 유치원 기본 현황 추이 분석(2017-2021) 252 부록 6. 설문조사 표 296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유아교육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행정 조직과 기능 개선 방안 연구 -
dc.title.alternative Improv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Function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to Strengthe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 System -
dc.type Report -
dc.citation.volume 연구보고 2022-16 -
dc.citation.startPage 1 -
dc.citation.endPage 315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문무경. (2022-12-31). 유아교육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행정 조직과 기능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2022-16, 1–315. -
dc.subject.keywor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
dc.subject.keyword Local Office of Education -
dc.subject.keyword Early Childhood Education -
dc.type.local 기본연구보고서 -
dc.type.other Research Report -
dc.relation.projectName 유아교육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행정 조직과 기능 개선 방안 -
dc.relation.projectCode MR2207 -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1. 기본연구보고서
파일 목록
MR2207.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