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송재화 -
dc.contributor.author 김리진 -
dc.date.accessioned 2023-07-03T16:46:37Z -
dc.date.available 2023-07-03T16:46:37Z -
dc.date.issued 2023-06-30 -
dc.identifier.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36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12세 아동 1,21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은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행복감을 통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을 중재하기 위해 환경 변인과 개인 변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행복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Type A behavior patterns, and their children's self-esteem,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using data from the 13th(202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17 6th 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ere directly affected by mothers’ Type A behavior patterns, and children's self-esteem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by mediating happin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address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bstacles. The findings confirm that children’s happiness is an important personal factor regarding children’s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hurdl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가. A유형 행동패턴 나. 행복감 다. 자아존중감 라. 집행기능곤란 3.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모형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dc.language kor -
dc.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
dc.title 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
dc.title.alternati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Type A Behavior Patterns, and Their Children's Self-esteem,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y -
dc.type Periodical -
dc.citation.title 육아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17권 1호 -
dc.citation.startPage 27 -
dc.citation.endPage 5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송재화. (2023-06-30). 어머니의 A유형 행동패턴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육아정책연구, 17권 1호, 27–50. -
dc.subject.keyword A유형 행동패턴 -
dc.subject.keyword 자아존중감 -
dc.subject.keyword 행복감 -
dc.subject.keyword 집행기능곤란 -
dc.subject.keyword Type A behavior pattern -
dc.subject.keyword Self-esteem -
dc.subject.keyword Happiness -
dc.subject.keywor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dc.type.local 육아정책연구 -
dc.type.other 정기간행물 -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712.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