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미디어 이용 및 신체활동이 인지적, 정서적 집행기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Title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미디어 이용 및 신체활동이 인지적, 정서적 집행기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Media Usage and Physical Activity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xecutive Functions
Author(s)
이민지송주현
Keyword
코로나19미디어 이용신체활동집행기능학교적응COVID-19Media UsagePhysical ActivityExecution FunctionSchool Adjustment
Issued Date
2023-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42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1,17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시기의 일상 생활 속 변화로서 미디어 이용량과 신체 활동량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이용 시간은 인지적, 정서적 집행기능과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신체활동 빈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낮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높은 인지적 집행기능을 통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상황의 맥락에서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dia usage and physical activity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hot” (emotional) and “cool” (cognitive) executive function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ere collected before and during the pandemic for 1,178 children aged 12 years, out of which 606 were girl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via bootstrapping using Mplus 8.7. The results showed that media usage increased and physical activity decreased during the pandemic. Increased media usage negative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and cognitive and emotional executive functions. Decreased physical activity also negative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Finally, media usage indirect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rough lower cognitive executive fun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to inform practice and policy.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가.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시간
나. 아동의 실내‧외 신체활동 빈도
다. 아동의 인지적 집행기능과 정서적 집행기능
라. 학교적응
마. 통제변인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 코로나19 전・후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실내・외 신체활동 일수 변화
3. 코로나19로 인한 미디어 이용, 신체활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718.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