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추진 중인 영유아와 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수요자와 사업담당자, 관련 전문가의 입장에서 체감되는 성과와 평가, 개선요구를 수렴하여 영유아와 임산부 건강지원사업 발전방안을 제시함. ∙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추진에의 의견은 ‘소득 기준에 관계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 서비스와 지원 사업 확대’라는 보편지원 방식에 동의가 높음. ∙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은 1세 미만 영아와 임산부 지원에 편중된 경향을 보여 생애 전반을 고려한 연속성 있고 포괄적인 확대가 요구됨. ∙ 향후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추진 방향성을 생애주기 포괄적 관점, 가족중심 지원, 심리·정서적 지원 강화, 지원체계 간 협업, 사업 접근성 향상, 취약계층과 취약지역 서비스 개선 등으로 제시하고 이를 위한 방안들을 구체화함.
Table Of Contents
1. 배경 및 지원사업 개요 2.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사업평가 및 개선요구 3.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