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실태 분석 및 컨설팅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Title
코로나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실태 분석 및 컨설팅 방안 연구
Alternative Title
Using Spac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during COVID-19: Current Status and Consulting Strategies
Author(s)
문무경강은진이혜민강현미성은영
Keyword
코로나19 대응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유치원과 어린이집공간 컨설팅COVID-19Early Childhood SettingsUse of SpaceConsulting
Issued Date
2022-01-31
Publisher
경제·인문사회연구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618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 시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공간 컨설팅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들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성장과 교육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보고서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주요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국내 영유아 부문 코로나19 대응 정책과 지침, 해외사례 등을 고찰하고, 둘째, 코로나19 대응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 실태와 지원 요구를 분석하며, 셋째, 코로나 시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의 우수 요소 및 취약 요소를 규명하며. 넷째, 코로나 시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바람직한 공간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컨설팅의 방향과 목적, 내용과 절차,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 해외사례 검토, 유치원과 어린이집 설문조사, 도면 및 현장조사, 부모면담, 현장관계자, 학계전문가, 담당공무원 대상 FGI 실시 및 정책세미나 개최 등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제2장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관련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내 공간 방역 지침을 검토하였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운영 전반에 대한 대응 지침이 마련되어 있으며, 유치원의 경우, 급식공간 칸막이 설치, 시차 배식 및 연령별 등하원 시간 분리 등 공간배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었다. 또한 관련 언론보도자료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코로나 감염의 취약 요인을 이용자와 공간특성(화장실, 환기여부 등) 및 활동특성(접촉수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코로나 대응 그룹분리, 동선관리, 좌석 배치 등과 같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공간 관리 방안을 탐색하였으며, 미국과 일본의 코로나19 대응 공간 설계와 활용 지침을 참고하였다.
제3장은 코로나 시기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 실태와 지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국적으로 기관유형별(유치원, 어린이집), 설립유형별(공사립), 기관 규모별, 지역별(도시 및 농어촌)로 할당하여, 총 926개기관(유치원 533개원, 어린이집 393개소)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코로나 전후를 비교하여 ① 교육․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공간,급간식 공간과 화장실, 실외공간의 이용 변화와 활용 방식 ② 방역 현황, ③ 공간 활용의 어려운 점과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공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하여 전반적으로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공간 변화가 많으며, 또한 현원이 80인 이상 규모가 큰 기관일수록 공간 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공간의 경우, 거리두기(띄워앉기, 지정좌석제, 가림막 이용), 인원분산 및 제한, 공간확보를 위한 가구 위치 이동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가림막 미설치 비율이 각각 35.1%, 68.1%(영아반의 경우 76.0%)로 높아 설치가 필요하며. 특히, 화장실 환기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원활한 교육․보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교실 내 놀이 공간 확보가 가장 필요하며, 방역을 위하여 LED 살균등과 유아 개인물품 보관장, 손으로 만지는 공간과 시설설비, 놀이감 소독을 위한 별도 인력과 분반 보조인력 지원을 요구하였다.
제4장은 코로나19 시기 공간 활용 영유아기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기관유형(유치원과 어린이집, 공사립기관), 기관 규모, 소재 지역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총 9개의 기관(유치원 5개원과 어린이집 4개소)를 사례조사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조사항목은 크게 공간과 이용 행태로 구분하고, 밀집도와 환기, 동선분리, 소독, 개인영역 확보 방식, 밀접 접촉(급간식, 수면 등)을 포함하였다. 건물도면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방식, 입지(주변 여건), 동선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례기관들의 코로나19 대응 공간 활용의 우수 요소 및 취약 요소를 규명하였다.
제5장에서는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을 위한 컨설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축공간분야의 공간 구분 틀을 적용하여 공공(Public) 영역/중간(Semi-Public) 영역/개인(Private)영역에 따른 공간 개선 요소를 제안하였다. 공공영역에서는 외부출입자 대기장소 마련과 출입 제한. 중간영역에서는 개별 실 및 공용공간의 연계를 위한 동선관리 및 환기 수준 보완, 개인영역에서는 환기와 개인위생 관련 설비 보완, 실내 밀집도 완화를 위한 가구 재배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간 개선 요소를 반영하여 영유아 교육과 돌봄 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활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공간 조성과 관리를 위한 총 36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안)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대응 영유아 공간 개선을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공간 컨설팅의 추진 방향, 내용과 절차, 컨설팅 예시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use of spac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during COVID-19, and to provide consulting strategies for the space use in order to minimize risks of the COVID-19 infection, and to ensure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and learning. The report of the study consisted of five chapters and their main focuses are summarized as below.
In Chapter I, a brief overview of the study was provided including the rationale for and purposes,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study. Although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body of research concerning impacts of COVID-19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henceforth, ECEC) and responding measures, use of space is one of under-researched topics.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s in transforming ECEC settings into a smart, digitalized space, but little attention is given to use of space under the COVID-19 circumstances. In this study, we first reviewed relevant literatures and cases of the US and Japan in order to extract implications for the space use in ECEC settings during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otal of 926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regarding their use of space and needs for support, In-depth case analysis was undertaken with 9 ECEC settings (5 kindergartens and 4 childcare centers) to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ir use of space during COVID-19. Based on findings, consult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including principles, contents and procedure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stakeholder groups (parents, teachers, official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comprehensiv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etc.) to discuss consulting strategies, and a dissemination seminar was held.
In Chapter II, a series of updated policy measures and guidelines for ECEC services to respond to COVID-19 were reviewed. Compared to guidelines for childcare centers, those of kindergarten addressed more specifically how to use and arrange space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levels of social distancing. Through reviewing press release on infected cases and literatures, factors of vulnerable space in ECEC settings were extracted in terms of features of specific space (e.g., space for meals and ventilation in toilets), characteristics of users (i.e., young children) and contact/density levels.
In Chapter III,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with 533 kindergartens and 393 childcare centers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nation-widely were provided.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s, compared to childcare centers, changed their use of space more in overall to cope with COVID-19. Large settings with more than 80 children, compared to the counterpart, also changed their use of space more. ECEC settings utilized various strategies to reduce density and to ensure proper social distances using screens and partitions, rearranging furnitures, alternating time for using certain space, etc. Screens were not actively used especially in childcare centers (68.1% of responded not in use) and with children under three year olds (76.0%). A more sufficient classroom space, LED germicidal lights and hand individual storage spaces, staff to sanitize toys and equipments and to assist divided classes were found as mostly needed.
In Chapter IV, an in-depth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floor drawings and on-site visits of 9 ECEC settings of different types, sizes, and locations. The locati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movement were diagnosed for each setting,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pace use during COVID-19 were identified.
In Chapter V, adopt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space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we provided a framework to distinguish public/semi-public/private areas in ECEC settings, and components for improving the use of space during COVID-19. Utilizing these components, we developed the KICCE and AURI checklist consisted of 36 items for creating and managing space in ECEC settings. For a systemic and sustainable support for the space use in ECEC settings amid COVID-19 as well as in similar contexts in the future, consulting strategies were provided including directions, contents and procedures, consulting examples as well as policy suggestion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5
제3절 연구방법 6

제2장 연구의 배경
제1절 코로나19 영유아 관련 정부 대응정책 개관 13
제2절 코로나19 대응 유치원과 어린이집 운영 지침 및 현황 21
제3절 유치원과 어린이집 설계기준 검토 34
제4절 선행연구 검토 42
제5절 해외 사례 48

제3장 코로나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제1절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간 활용 실태 67
제2절 공간 방역 142
제3절 지원 요구 166

제4장 코로나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사례 분석
제1절 사례기관 선정 기준 및 특징 199
제2절 사례기관 조사 결과 211

제5장 코로나 시기 영유아 교육과 돌봄 공간 활용 컨설팅 방안
제1절 공간 컨설팅의 방향과 목적 311
제2절 공간 컨설팅의 내용과 절차 319
제3절 공간 컨설팅 활성화 방안 336

참고문헌 341

부록 346
부록 1. 코로나19 관련 유치원 공간 활용 실태조사 설문지 346
부록 2. 코로나19 관련 어린이집 공간 활용 실태조사 설문지 359
부록 3. 코로나19 관련 부모 의견조사 설문지 372
부록 4. 정책세미나 일정표 374
부록 5. 코로나19 상황 영유아 돌봄 관련 선행연구 375
부록 6. 설문조사 결과(등하원 차량 및 공간별 방역)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5. 수탁연구보고서
파일 목록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