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Title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re- and Post-partum Depression Trajectories and Parenting Stress: Parenting Support Policies as Moderators
Author(s)
천연미
Keyword
출산 전후 우울 변화궤적양육 스트레스육아지원정책Pre- and post-partum depressionparenting stressparenting support policies
Issued Date
2024-12-31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792
Abstract
본 연구는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및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 패널」에서 임신 16주(총 3,372가구)부터 산후 4개월까지 네 개 시점에 걸쳐 수집한 2022년 출생 신생아 산모의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 전후 우울의 잠재계층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우울군’, ‘출산직전-직후주요우울군’, ‘산후경도우울군’, ‘비우울군’ 네 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네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비우울군에 비하여 다른 유형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출산직전-직후주요우울군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를 현물/바우처 지원 이용정도와 현금・현물/바우처・시간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조절하였다. 이 결과는 산모 우울을 산전부터 고려할 필요성과 시간에 따른 우울 변화궤적 유형의 다양성, 이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와 이들의 관계에서 육아지원정책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various trajectories of maternal pre- and post-partum depression and examine their associations with parenting stress, while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upport policies. This study used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Panel (K-ECEC-P)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mothers at 16 weeks and 32-37 weeks of pregnancy, and 1 month and 4 months post-partum. Based on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four classes were identified: major depression, major depression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birth, mild depression after birth, and no symptoms. The trajector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between 'major depression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birth' group and parenting stress by the number of voucher support policies used, satisfaction with cash, voucher and time support policies. The results emphasize the heterogeneity of maternal pre- and post-partum depression over tim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parenting stress and support policies.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자료
2. 연구도구
가. 모의 산후 우울
나. 모의 양육스트레스
다. 육아지원정책 이용정도 및 만족도
라. 통제변인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치
2.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
가.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에 대한 잠재계층성장분석(LCGA)
나.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별 특성
3. 출산 전후 산모의 우울 변화궤적 유형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육아지원정책의 조절효과
가. 상관관계 분석
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834.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