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한국의 출생아 수는 약 23만 명으로 11년 전인 2012년의 48만 5천명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음. ∙ 육아하는 가구의 삶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출산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시점에 양육자 관점에서 부모됨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을 들여다보고자 함. ∙ 실제 육아가구의 부모들은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 자녀의 가치를 크게 느끼고 있고, 비육아가구의 경우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부담으로 느끼는 경우가 있어, 육아의 긍정성 측면과 정책적 요구를 파악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사회적으로 육아가구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육아친화적 문화 형성 및 육아지원제도 활용이 용이한 직장문화 제공 등의 노력으로 육아가구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
Table Of Contents
1. 배경과 문제제기 2. 부모됨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인식 3. 부모가 된 후의 삶의 변화 4. 육아가구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요구 5.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