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급돌봄 수요는 이른 하원 등으로 인해 상시로 요구되는 틈새보육과 구분되므로 종일제돌봄의 접근성 제고와 더불어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별도의 제도화가 요구됨. ∙ 긴급돌봄의 어려움으로 추가출산을 기피하거나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3.3%로 높게 나타났으며, 추가자녀의 출산 시기를 늦추거나 고려한 적이 있는 경우가 57.3%로 조사되므로 시급한 대응이 요구됨. ∙ 긴급돌봄 유형은 자녀가 아픈 경우, 기관이용 맞벌이 가구의 긴급한 근로 상황, 가정내 양육가구의 주양육자 부재 상황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긴급돌봄 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해 아동돌봄 관련 유관부처의 협력체계 구축 등 기반 조성과 질병아동 긴급돌봄 지원사업에 관한 법적 근거마련, 기관돌봄과 가정내돌봄을 병행하는 지원방식, 기존 돌봄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 접근성 제고 방안 등 지원 전략을 제시하고, 긴급돌봄 유형 및 대상별 세부과제를 제안함.
Table Of Contents
1. 배경 및 문제점 2. 소규모 병설유치원 운영 개선 사업 현황 3. 소규모 병설유치원 운영 개선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4. 인구감소 지역 소규모 유치원 운영 개선 방안 5. 맺음말: 유보통합의 고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