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보통합 시대를 맞아 그동안 다소 간과되어왔던 영유아의 배움에 대한 문제를 영유아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보다 명료하게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은 현장에 놀이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활성화된 놀이에 비해 영유아의 배움에 다소 관심이 부족했던 이유를 현장의 변화와 연구 동향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영유아의 배움이 교육과정의 체계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누리과정 고시문과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에 기반하여 영유아의 배움을 탐구해 보았다. 특히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영유아의 배움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영유아가 경험해야 할 5개 영역의 내용을 가장 실제적이고 명료하게 나타내는 ‘배움 읽기’라는 대안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영유아의 배움 읽기를 실행하는 주체로서 영유아 교사가 배움에 대하여 보다 확장된 인식을 가지고 5개 영역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실행력을 강화해 가는 행위 주체성의 필요성도 제안하였다.
Table Of Contents
1. 영유아의 배움에 주목하며 유보통합 다시보기 2. 영유아 배움에 대한 인식론의 한계와 확장 3. 누리과정 고시문에서 영유아 배움 이해하기 4. 영유아의 교육과정에서 영유아의 배움 읽기 5. 배움 읽기와 교사의 교육과정 행위 주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