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metaphor) 해석

Metadata Downloads
Title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metaphor) 해석
Alternative Title
Interpretation of the Metaph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Nuri Curriculum
Author(s)
나정조준오
Keyword
유아교사누리과정은유early childhood teacherthe Nuri curriculummetaphor
Issued Date
2016-12-31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43
Abstract
본 연구는 현장에서 국가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직접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를 수집하여, 유아교사들의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해보고, 교사들의 은유가 어떤 교육과정 유형과 맥락이 닿아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총 19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분석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의 범주는 나침반이 57명(28.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교과서 55명(27.9%), 통합 21명(10.7%), 영양 16명(8.1%), 틀 16명(8.1%), 평등 16명(8.1%), 놀이 9명(4.6%), 기초 4명(2.0%), 공부 3명(1.5%)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를 교육과정 관점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는, 전통주의 관점이 159명(80.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재개념주의 22명(11.2%), 개념-경험주의 16명(8.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가유아교육과정에 대한 개발방향,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연수 방안 등 향후 유아교육과정정책 수립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taph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ovided teaching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 about the curriculum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ir awar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etaphors and the types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7 selected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 metaphor analysis was made after their metaphors of the Nuri curriculum were gathered. As a result, compass(57 teachers, 28.9%) was identified as the largest metaphorical category about the curriculum, followed by textbook(55, 27.9%), integration(21, 10.7%), nutrition(16, 8.1%), framework(16, 8.1%), equality(16, 8.1%), play(nine, 4.6%), basics(four, 2.0%) and study(three, 1.5%). When the nine metaphorical typ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the traditionalistic perspective was most dominant(159 teachers, 80.7%), followed by reconceptualistic perspective(22, 11.2%) and a combined perspective of conceptualism and empiricism(16, 8.1%).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hat should be done to ensure successful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setting was suggested, which included the right direction for kindergarte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038.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