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어머니의 취업, 가정환경,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Title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어머니의 취업, 가정환경,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중심으로
Alternative Title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mother's employment,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uthor(s)
이예진전은옥
Keyword
한국아동패널학교적응모 취업가정환경집행기능 곤란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school adjustmentmother's employmenthome environment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ssued Date
2019-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2989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 가정의 물리적・기능적 환경, 그리고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자료를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모형 분석을 실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직접적‧간접적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가정의 물리적 환경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기능적 환경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은 학교적응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정의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을 고려한 맞춤형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employment, physical and functional environment of famil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Data from 8th survey in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were used.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and examined using AMOS 21.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mployment did not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amily on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through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f the children. Third, the functional environment of family ha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Fourth,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f the children had a strong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s shown above, home environment factor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needs support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for school adjustment.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315.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