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집행기능의 발달 유형: 사회적 유능성의 영향 및 그릿(Grit)에서의 차이

Metadata Downloads
Title
아동기 집행기능의 발달 유형: 사회적 유능성의 영향 및 그릿(Grit)에서의 차이
Alternative Title
The Social Competence and Grit relating to the Different Type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Executive Functioning for Children
Author(s)
임효진류재준
Keyword
집행기능그릿사회적 유능성발달 유형GritConsistency of interestPerseverance of effortsAcademic StressLearning Attitudes
Issued Date
2023-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37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아동기 집행기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그러한 변화 궤적의 유형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적 유능성이 집행기능의 발달 유형을 어떻게 예측하며 발달유형에 따라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의 결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과정에서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7차~12차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장된 잠재집단 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집행기능의 변화는 2차함수모형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유지 집단, 상승 후 하락 집단, 하락 후 상승 집단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취학 전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높을수록 상위 유지 혹은 상승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상위 유지 집단과 하락 후 상승 집단은 상숭 후 하락 집단에 비해 초등학교 5학년 시기 그릿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이 집행기능 향상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향상된 집행기능이 그릿에도 도움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anges in executive functioning during childhood appear over time, and their different typ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competence predicts these development and how grit (i.e.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differs according to development. Data from the 7th to 13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in executive functioning from 1st to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llowed a quadratic model, and three qualitatively different developmental patterns emerged: the high-maintaining group, the increasing after falling group, and the decreasing after rising group. Generally, the higher the social competence level in preschool,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maintaining and increasing groups. Finally, the high-maintaining and increasing-after-groups exhibited higher grit levels during the 5th grade than the decreasing-after-rising gro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child's social competence directly improves executive function and that improved executive func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grit.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가. 집행기능
나. 사회적 유능성
다. 그릿
3. 연구모형 및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집행기능 변화의 유형 및 특성
가. 성장모형의 비교
나. 집행기능 변화의 잠재집단 분류
다. 집행기능 발달 유형에 따른 특성
3. 집행기능 발달 유형을 예측하는 사회적 유능성
4. 집행기능 발달 유형에 따른 그릿의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713.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