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그릿과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구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Title
아동의 그릿과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구조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een children's grit, learning attitude, academic stress, and happiness
Author(s)
김진철김성천
Keyword
그릿흥미유지노력지속학업스트레스학습태도GritConsistency of interestPerseverance of effortsAcademic StressLearning Attitudes
Issued Date
2023-06-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3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과 학업스트레스, 학습태도, 전반적 행복감 간 관계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연구(2020)의 1,205명 아동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8문항의 그릿은 신뢰도와 요인분석 결과, 6문항으로 축소되었고 2요인이 타당했다. 둘째, 연구변인 간은 약 -.43~.47의 상관 범위이었다. 셋째, 흥미유지는 학업스트레스에 부적 영향, 학습태도에 긍정 영향을 주었다. 노력지속은 학습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전반적 행복감에 부적 영향이었으나 학습태도는 긍정 영향이었다. 흥미유지는 전반적 행복감에 대하여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노력지속은 긍정적 변인이었다. 넷째, 흥미유지는 전반적 행복감에 직접효과는 없었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습태도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노력지속은 전반적 행복감에 대한 직접효과가 있고 학습태도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교육에 그릿 속성의 반영과 동료학습의 중요성을 논의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stress, learning attitudes, and happiness. The target population comprised 1,205 children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scale of the eight questions was reduced to six due to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two factors were reasonable. Second, the correlation range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approximately -.43~.47. Third, consistency of interest negatively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s. The Perseverance of effort positively affects learning attitudes. Academic stress negatively affects overall happiness, whereas learning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it. Consistency of interest does not affect overall happiness, but perseverance does. Fourth, consistent interest does not directly affect overall happiness; but indirectly affects it through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attitude. Perseverance of effort directly affects overall happiness and indirectly affects learning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the reflections on grit attribute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peer learning were discussed.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분석변인 및 코딩방법
3. 연구모형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그릿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2.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 그릿, 학업스트레스, 학업태도, 전반적 행복감 간의 구조모형
가.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나. 구조모형의 검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715.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