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인식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Metadata Downloads
Title
부모가 인식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Rol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Link Between Early Parent–Child Interaction and Later Media Devic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A Longitudinal Analysis
Author(s)
장효은
Keyword
부모-자녀 상호작용집행기능 곤란미디어기기 중독잠재성장모형Media useParent-child interaction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media device addictionlatent growth model.
Issued Date
2025-04-30
Publisher
육아정책연구소
URI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838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고학년 시기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저학년 시기 집행기능 곤란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 제7차년도(만 6세)부터 제13차년도(만 12세)까지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초기값에서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집행기능 곤란을 통한 부분매개효과도 나타났다. 변화율에서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집행기능 곤란을 통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집행기능 곤란이 아동기 미디어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경로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으로, 예방 및 개입을 위한 보호요인으로서 이들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nd media device addiction in later elementary school.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spanning from Wave 7 (age 6) to Wave 13 (age 1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cept of parent–chil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media device addi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via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dicated a partial mediation. In contrast, the slope of parent–child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lope of media device addiction, bu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the slop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dicated a full mediation.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longitudinal pathway through which parent–child interaction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fluence media device addiction in childhood, highlighting their importance as key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가. 미디어기기 중독
나. 부모-자녀 상호작용
다. 집행기능 곤란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부모-자녀 상호작용, 집행기능 곤란, 미디어기기 중독간의 관계
2. 주요 변인의 변화모형 검증 및 잠재성장모형 추정치
3. 주요 변인 간의 종단적 관계
4.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종단적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1. 육아정책연구
파일 목록
PR1911.pdf Download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OAK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