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사 예측요인 탐색을 위해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여성가족패널 4차(2012년)~9차(2022년)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에는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314건이 포함되었다. 첫째, 예측모델에 대한 변수별 중요도는 성평등 요인, 경제적 요인, 인식・문화적 요인 순이었다. 둘째, 성평등 요인인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과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이 부부간 대등할 때 출산의사가 가장 높았다. 셋째, 가구소득의 증가는 출산・육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적정 소득 구간까지 출산의사를 증가시켰으나 그 이후에는 출산의사가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는 저출생 위기 해소를 위해 성평등 제고가 중요한 과제이며, 변수 간 비선형 관계를 고려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nd media device addiction in later elementary school.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spanning from Wave 7 (age 6) to Wave 13 (age 1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cept of parent–chil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media device addi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via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dicated a partial mediation. In contrast, the slope of parent–child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lope of media device addiction, bu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the slop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dicated a full mediation.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longitudinal pathway through which parent–child interaction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fluence media device addiction in childhood, highlighting their importance as key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가. 합리적 선택이론 나. 제2차 인구전환(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이론 다. 다중균형(multiple equilibrium) 이론 3. 선행연구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