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및 체제구축 방안(Ⅱ): 미래 역량 중심의 영유아 교육·보육 재구조화
Alternative Title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and System Establishment Plan (Ⅱ): Restructur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Focusing on Future Competencies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로 수행되는 1차년도 연구인 ‘미래형 유아교육·보육과정 설계 및 체제구축 방안(Ⅰ):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방안 탐색’ 연구의 후속으로 추진되었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서 탐색한 ‘미래형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설계 방향’을 기반으로 영유아기 미래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이에 따른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영유아기 미래 핵심역량을 토대로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인간상과 역량 관련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초·중등 교육과정의 역량의 정의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유아기 역량을 다루고 있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역량을 조망하는 관점과 정의,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다루는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육·보육 학계 전문가, 교사, 현장 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 등(20인 내외)을 중심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초점집단 인터뷰(FGI)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영유아기 미래 역량의 정의, 범주 및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초등 저학년(1-3학년) 이하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총 1,500명을 대상으로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인간상, 생애초기인 영유아기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 미래교육에서의 인간상,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도입 흐름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영유아 역량 중심의 국외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서 핀란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뉴질랜드, 싱가포르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가수준 보육과정에서 미래 역량 관점을 영아 보육과정에 반영할 필요성과 의미를 고찰한 후 영아기 미래 역량의 반영이 가지는 시사점과 적용방향을 논의하였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 총론 상의 역량 반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래형 유아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 제안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유아 역량에 관련된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동향 분석을 실시하고, 유아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유아역량의 하위요소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한 핵심역량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문가 FGI, 델파이 조사, 부모 설문조사를 통해 영유아기 인간상과 역량,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셋째,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재구조화를 위해 영유아기 인간상의 개선안을 제시하고, 영유아기 핵심역량의 설정을 위한 개념과 하위 요소(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영유아기 미래 역량을 반영한 총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상기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영유아기 인간상의 설정 방향을 검토하여 추 구하는 인간상의 총체성과 연속성의 고려, 영유아기 발달 특성을 고려한 인간상의 제시, 인간상의 개념 명확화 및 의미 연결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핵심역량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핵심역량의 위상 및 위계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하고, 핵심역량 중 영유아기에 강조할 필요가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역량을 설명하면서 핵심역량의 하위 요소(안)을 제시하였으나 영유아기 핵심역량의 해석과 하위 요소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타당화 및 정교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셋째, 영유아기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총론의 방향성으로 영유아기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영유아기의 개념을 재정의하되, 정의된 개념의 하위요소를 설정하고, 타당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총론에 제시된 역량이 각론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 역량의 하위 요소 간의 연계 방안의 구체화가 필요하며,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이 초중등학교급과는 달리 영역별로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각론에서의 핵심역량은 제안하지 않고, 총론에서의 역량이 각론에서 하위 요소로 반영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역량을 초중등 교육과 어떻게 연결할지,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에서 독자적으로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국가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영유아를 포함한 모든 학교급에 함께 국가교육과정의 가치와 방향성을 공유한 후 학교급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llow-up to the first-year study,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and system establishment plan (Ⅰ): Exploration of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design plan’ conducted as a cooperative research of the Economic,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Council. In the second year of this research, we built upon the ‘future-oriented design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xplored in the first year. We deriv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futu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identified the corresponding sub-elements, and presented a plan to restructur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based on these future core competencies. For this study, we reviewe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human image and capabilit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analyzed the definition and form of the capabilitie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erspectives and definitions of capabilit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vious studies on early childhood capabilities, and the methods of handling capabilities in the curriculum to derive implications. Next, we organized an expert panel centered on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eachers, field experts, and curriculum experts (about 20 peopl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a Delphi survey, and derived the definition,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future capabilities in early childhood. Following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a total of 1,500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grades 1-3) on the human image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 capabilities required in young children, the early stages of life.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plored the human imag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uman image in future education, and the human image pursued in the curriculum, examine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i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xamined the curricula of Finland, British Columbia, Canada, New Zealand, and Singapore to examine overseas curricula centered on early childhood competencies. Second, we examined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futu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level childcare curriculum,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directions of reflecting future competencies in infancy,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mpetency reflection in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n addition, as a basic task for proposing the direction of designing a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e conducted a trend analysis centered on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competencies, and analyzed the relevance of the sub-elements of early childhood competenci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compared to the core competencies propo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opinions on the human image and capabilitie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were analyzed through expert FGI, Delphi survey, and parent survey. Third, in order to restructure the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for fostering future capabilitie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human image of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and concepts and sub-elements (plans) for establishing core capabilities of infants and toddlers were proposed. Furthermore, we outlined the direction of the general theory reflecting the future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human image in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reviewed to ensure the totality and continuity of the pursued human image. This includ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clarifying the concept of the human image, and connecting its meaning. Second, a social consensus on the identity of core competencies and a review of their status and hierarchy should be established. The sub-elements (draft) of core competencies should be presented, focusing on aspects that need emphasis in early childhood. However, the interpretation and sub-elements of core competencies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validated and refined through follow-up research.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young children should be redefin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s a general direction for fostering future competencies in early childhood, but the sub-elements of the defined concept should be established and validated. It is also necessary to specify ways how th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theory can be linked to the specific theories, and how the sub-elements of competencies can be interconnected. Additionally, given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is structured in an integrated manner by area, unlik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core competencies in specific theories should not be proposed. Instead, the competencies in the general theory should be designed to be reflected as sub-elements in specific theorie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cussion on how to link core competencies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whether to independently define the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should be centered on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he values and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shared across all school levels, including early childhood, and develop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vel.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4 3. 연구 방법 5 4. 연구 추진 체계 10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미래의 인간상 13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 13 2. 미래교육에서의 인간상 15 3. 미래 생태·환경 변화에 대비한 인간상 17 4.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19 5. 시사점 21 제2절 역량의 의미와 영유아기 역량 22 1. 역량의 의미 22 2. 영유아기 역량 24 3. 소결 28 제3절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29 1. 핵심역량의 도입의 흐름과 특징 29 2. OECD 핵심역량의 등장 배경과 주요 내용 34 3. 핵심역량의 정체성 탐색 38 4.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설계 및 쟁점 49 5. 시사점 71 제4절 영유아 역량 중심의 국외 교육과정 사례 74 1. 핀란드 74 2. 캐나다 78 3. 뉴질랜드 82 4. 싱가포르 87 5. 소결 94
제3장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요소 분석 및 미래 역량 탐색 제1절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요소 101 1.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 역량 반영의 필요성 101 2. 제4차 표준보육과정 총론의 영아 역량 반영 요소 104 3. 제4차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영아기 역량 요소 분석 114 제2절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요소 133 1. 총론 문서상의 핵심역량 반영 실태 135 2. 영역별 내용 문서상의 핵심역량 반영 실태 140 3. 소결 144 제3절 선행연구 및 언론기사 분석 146 1. 유아 역량 관련 국내 학술연구 동향분석 146 2. 핵심역량의 하위개념과 핵심역량 내용에 따른 유아교육 연구경향 탐색 163 3. 영유아기 미래 역량 도출을 위한 언론 기사 분석 174 4. 소결 182 제4절 영유아기 미래 인간상 및 역량에 대한 의견 183 1. 초점집단(FGI) 인터뷰 결과 183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229 3. 부모 의견조사 결과 241 4. 소결 256
제4장 미래역량 중심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제1절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261 1. 영유아기 인간상의 설정 261 2. 영유아기 핵심역량의 설정 270 제2절 영유아기 역량을 반영한 총론의 방향 285 1. 비전과 인간상, 역량의 제시 285 2. 설계시 고려사항 286 3. 역량함양을 위한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으로 재정의 287 4.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89
참고문헌 291 1. 단행본, 학술논문 291 2. 보도자료 303 3. 참고 웹사이트 303 4. 참고 법령 303
부록 305 부록 1. 유아 역량 관련 국내 학술연구 동향분석 관련 표 306 부록 2. 영유아기 미래 역량 도출을 위한 언론 기사 분석 관련 표 314 부록 3. 전문가 델파이 조사 관련 표 331 부록 4. FGI 질문지 338 부록 5. 전문가 델파이 조사 질문지(1차) 341 부록 6. 전문가 델파이 조사 질문지(2차) 346 부록 7. 부모 설문조사 질문지 351